해안평야

해안평야

[ coastal plain , 海岸平野 ]

요약 해안에 형성되어 있는 평야.
새만금 간척지

새만금 간척지

해안에 나타나는 넓고 저평한 지형을 가리킨다. 형성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천이나 파랑, 조류(潮流) 또는 바람 등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경우와, 얕은 바다의 해저 지형이 지반융기나 해수면의 하강에 의해 해수면 위로 올라와 형성된 경우이다. 

하천, 파랑 등 각종 기구(agent)의 퇴적작용에 의한 해안평야도 세부적으로는 그 성인(成因)이 다양하다. 먼저 하천이 운반한 모래 등 퇴적물질이 해안에 쌓여 형성된 삼각주가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파랑과 연안류 등의 퇴적작용에 의해 생기는 사빈(砂濱, beach), 사주(砂洲)나 조류에 의해 형성되는 넓은 간석지도 해안평야의 형성을 돕는다. 한편, 보통은 하천의 중상류에 나타나는 퇴적지형인 선상지도 해안 가까이 위치할 경우 해안평야로 나타날 수 있다.

후빙기 해수면 상승과 관련하여 해안에 넓게 나타나는 범람원도 해안평야를 형성할 수 있다. 빙기 때 깊게 파인 골짜기에 후빙기 해수면 상승으로 퇴적작용이 넓게 이루어져 나타나는 해안평야로, 이를 하곡(河谷)평야라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 서해안에 나타나는 대규모의 해안 평야들은 여기에 해당하는 것들이 많다.

그밖에도 하천의 일반적인 퇴적작용에 의한 충적평야도 해안평야에 나타난다. 우리나라 동해안의 경우, 해안과 가까운 태백산지로부터 많은 퇴적물을 공급받는 하천들에 의한 충적평야들이 해안을 따라 비교적 좁은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곳들이 있다.

또한 하천이나 파랑, 조류 등의 퇴적작용과는 별개로 바람에 의한 퇴적작용도 해안평야의 형성을 돕는데, 모래의 공급이 많은 사빈이나 사구에서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날려 그 규모가 커질 경우 해안평야를 형성하기도 한다.

한편, 지반의 융기나 해수면 하강에 의해 형성되는 해안평야는 해저의 비교적 평평한 지형이 육지로 드러난 것으로, 위의 해안평야들과는 형성요인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점토·모래 등 비교적 고운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융기량이 적은 해안평야의 경우 보통의 해안저지대와 별 차이가 없는 지형을 이룬다. 형성 시기가 비교적 오래된 해안평야는 바다에 면한 곳에 낮은 해식애가 이어지고, 주변부는 하천에 의해 개석(開析)되어 지표면이 복잡하게 나타나는 대지(臺地)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또 이전부터 흐르던 하천은 새로운 해안평야 상에 유로를 연장해서 흐르는 연장천(延長川)이 되며, 해안선은 단조로운 이수(離水)해안을 이루게 된다. 미국의 대서양 연안에서 멕시코 만에 걸쳐 발달한 해안평야는 길이가 최대 800 km에 이르러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해안평야 내 지형의 변화도 많은 편이다. 우리나라 동해안의 경우도 융기에 의해 형성된 해안평야들이 있으며 이러한 평야를 융기해안평야라 부르기도 한다.

오늘날 해안평야를 형성하는 또 하나의 요인은 간척 활동에 의한 평야가 있다. 이것은 인간에 의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평야로, 경제가 발전하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며, 그 규모도 과거에 비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에는 이러한 간척에 의해 형성된 넓은 해안평야들이 많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