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블록

콘크리트블록

[ concrete block ]

요약 된비빔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일정한 형상 ·치수 ·강도의 기준에 의해 공장에서 성형(成型)되는 블록 모양의 콘크리트로 구조에 따라 보강콘크리트블록, 거푸집콘크리트블록, 벽붙임콘크리트로 분류된다.
콘크리트블록

콘크리트블록

철근콘크리트강하여 쌓아 올려서 벽체(壁體)를 만든다. 제2차 세계대전구조역학의 발달과 함께 미국에서 제조기계가 수입되어 보급되었다.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보강콘크리트블록:블록 중공부(中空部)에 알맞은 간격으로 가로세로 철근을 배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해서 보강하고 이음부분에는 모르타르를 채워 넣어 콘크리트블록구조의 내력벽(耐力壁)을 만드는 것이다. ② 거푸집콘크리트블록:L자형 ·T자형 ·Z자형 등 특수한 모양의 블록을 거푸집 대신 조립하여 중공부에 배근(配筋)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력벽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③ 벽붙임콘크리트:철골조나 철근콘크리트조에서 기둥, 보, 마루에 의해 생기는 틀 사이에 블록을 쌓아올려 수직 ·수평하중은 부담시키지 않고 칸막이벽으로 사용한다. 또 형상에 의해 공동(空洞) 콘크리트블록과 거푸집 콘크리트블록으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공동 콘크리트블록이다.

골재에는 보통골재 이외에 쇄석(碎石) ·화산자갈 ·석탄버력 등의 불연성의 것이 사용되며 믹서로 혼합하고 동력에 의해 진동압축성형하여 장시간 60 °정도로 습윤양생(濕潤養生)시킨다. 블록은 그 비중에 따라 중량블록과 경량블록으로, 강도에 따라 A종(25kg/cm2 이상) ·B종(40kg/cm2 이상) ·C종(60kg/cm 이상)으로 나누어진다. 블록은 아파트나 소규모 병원 및 사무소 등의 건물에 사용되고, 장식용 구멍이 뚫린 블록 등을 사용한다. 사용상의 주의로서는 접합면을 물로 깨끗이 씻고 습기를 주어 모르타르가 잘 부착하도록 한다. 그러나 수분이 너무 많으면 좋지 않다. 또 외벽에 사용하는 경우 경량콘크리트블록은 흡수성이 강하므로 시멘트방수나 방수페인트에 의한 다듬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