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

청각

[ auditory sense , 聽覺 ]

요약 물이나 공기 등을 통해 전해지는 음파를 자극으로 감지해내는 기계적 감각을 의미한다.
소리의 전달 과정

소리의 전달 과정

척추동물의 감각기관은 귀로 외이·중이·내이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종에 따라 소리로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대의 영역이 다르다. 대부분의 무척추동물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곤충의 경우 압력을 변화를 감지하는 고막기관이라고 하는 수용기와 진동을 감지하는 운동수용기가 있다. 고막기관은 귀뚜라미나 여치의 앞다리 정강이마디, 나방의 뒷가슴, 메뚜기의 배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음압에 의하여 막이 진동하여 현음기관의 감각세포를 자극하게 된다.

사람의 경우 정상인의 가청범위는 20~2만Hz로, 청각 수용기는 내이의 달팽이관에 있고, 외이와 중이는 음을 내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외이는 귓바퀴외이도(外耳道)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막을 두고 중이와 나누어진다. 중이에는 망치뼈·모루뼈·등자뼈라고 하는 3개의 뼈가 있어 고막의 진동을 달팽이관의 난원창으로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음파의 진폭은 감쇄되지만 음압(音壓)은 약 20배로 증강된다. 내이에는 청신경이 밀집해 있어 증폭된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후 대뇌의 청각영역으로 전달하여 소리를 듣게 된다. 음의 높낮이는 달팽이관 내에서 흥분하는 청세포가 있는 장소에 따라 구분되며, 나이가 들면서 고주파수음을 잘 못 듣게 되는데 평균적으로 30세 정도부터 17,000Hz의 고주파 영역의 소리는 잘 들리지 않는다. 다만,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오랫동안 큰 음량으로 이용하거나 공연장 같이 시끄러운 곳에서 장시간 일을 하는 경우에는 기저막에 손상이 더 빨리 오기 때문에 나이와 상관없이 소리감각이 떨어지게 된다.

동물의 청각

물·공기 등을 통해 전해지는 음파를 동물이 자극으로서 감수하는 기계적인 감각을 말한다. 대부분의 무척추동물에는 이 감각이 없으나 척추동물과 곤충류에 있어서는 시각과 더불어 중요한 감각이다. 곤충의 청각기에는 고막기관이라고 하는 일종의 압변화(壓變化)의 수용기와, 음의 매질입자의 진동운동에 반응하는 운동수용기가 있다.

메뚜기의 복부나 여치·귀뚜라미 등의 앞다리 정강이마디[前肢脛節]에 있는 고막기는 내부에 기낭(氣囊)이 있으며, 음압에 의해서 고막이 진동하면 직접 또는 기낭에 전달된 후에 감각세포를 자극한다. 운동수용기는 곤충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촉모(觸毛:聽毛)나 현음기관(絃音器官) 또는 존스턴기관(물방개 등에서 볼 수 있는 현음기관의 특수한 한 형태) 등과 같이 현과 같은 것이며, 그 속에 감각세포가 있다.

척추동물의 감각기관은 귀라고 하며, 그 중에서 중요한 것은 내이(內耳)이다. 내이 속에 발달한 미로(迷路)는, 상부는 평형기관인 통낭(通囊)과 반고리관으로, 하부는 청각에 관계되는 소낭(小囊)과 호낭(壺囊)으로 나뉘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동영상

귀의 구조와 기능 귀는 소리를 감지하는 감각기관입니다. 사람의 귀는 위치에 따라 외이, 중이, 내이의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외부 공기의 진동으로 전달된 소리는 외이의 귓바퀴에서 모아져 외이도를 지나 고막을 진동시킵니다. 고막의 진동은 중이의 귓속뼈에 의해 증폭되어 내이의 달팽이관으로 전달됩니다. 전달된 진동에 의해 달팽이관 속의 청각세포가 흥분하면 이 신호가 청각 신경을 통해 대뇌로 전달되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 이때 귀인두관은 중이의 압력을 외부와 같게 조절하여 고막을 보호하고 소리가 잘 들리도록 도와줍니다. 귀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도 관여합니다. 이러한 평형감각은 내이에 위치한 전정기관과 반고리관이 담당합니다. 전정기관은 몸이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반고리관은 몸이 회전하는 것을 감지합니다. 세 개의 반고리관은 전정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속은 림프액으로 차 있습니다. 우리가 고개를 돌리거나 몸을 움직이면 림프액이 감각 세포를 자극하게 되는데, 이로써 우리가 얼마나 몸을 기울였는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를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