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각

와우각

[ cochlea , 蝸牛殼 ]

요약 달팽이의 껍데기처럼 감겨있는 관으로 전정계, 달팽이관, 고실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이에 위치한다.
소리의 전달 과정

소리의 전달 과정

달팽이의 껍데기처럼 생긴 관으로, 그 속에 림프가 차 있다. 내이의 가장 앞 부분에 위치하며, 와우축이라는 뼈로 된 기둥을 중심으로 두 바퀴 반 정도 감겨 있다. 감겨져 있는 와우각을 펼치면 길이 3cm정도의 끝이 막힌 원추형 모양이 되며, 막힌 끝 부분을 와우첨이라 한다. 뼈로 되어 있는 관인 와우각의 내부에는 막으로 이루어진 관인 달팽이관이 있다.

단면도를 보면, 와우각은 달팽이관을 중심으로 위쪽은 전정계, 아래쪽은 고실계로서, 막에 의해 구분된다. 전정계는 난원창에 의하여, 고실계는 정원창에 의하여 중이와 접하고 있으며, 이 두 창에는 탄력성이 있는 격막이 있다. 전정계와 고실계는 와우각의 한 쪽 끝에서 서로 통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뇌척수액과 조성이 비슷한 외림프가 채워져 있다. 달팽이관 속에는 내림프가 가득 차 있으며, 외림프의 조성과는 약간 다르다.

달팽이관의 천장을 이루는 막을 전정막이라고 하며, 이는 달팽이관과 전정계의 경계가 된다. 달팽이관의 바닥을 이루는 막은 기저막이라 하는데, 이는 달팽이관과 고실계의 경계가 된다. 기저막은 다양한 넓이와 길이를 가진 수 천 개의 단단한 탄력섬유로 구성되어 있는데, 난원창 근처에 있는 기저막은 딱딱하고 짧은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나, 와우첨으로 갈수록 길고 연한 섬유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에 의하여 각 부분의 기저막은 각각 다른 주파수에 반응하게 된다.

기저막에는 코르티기관(器官)이라고 하는 약간 돌출된 구조가 있으며, 여기에 청세포가 있다. 청세포의 표면에는 많은 섬모가 나 있으며, 이 섬모가 달팽이관 속의 내림프로 뻗어 있다. 난원창의 진동으로 달팽이관 속의 림프가 움직이면 이 액체의 압력으로 정원창은 난원창의 반대방향으로 진동한다. 이때 림프액의 움직임으로 섬모를 흔들게 되며, 이 섬모의 움직임이 청세포를 자극하여 흥분을 일으키고, 이 흥분이 청신경에 의해 대뇌피질에 전달되어 소리를 감각하게 된다.

와우각 본문 이미지 1
청신경기저막와우각청세포귀반고리관코르티기관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