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군

정주군

[ 定州郡 ]

요약 평북의 남서 해안에 임해 있던 군, 1994년 8월 시로 승격되었다.

정주군 본문 이미지 1벽동창성삭주운산동창대관향산구장영변박천태천구성운전정주곽산선천천마의주피현동림철산염주용천신도자강도평안북도신의주평안남도
정주군은 원래 고려시대의 구주군(龜州郡)에 속하였다. 1019년(고려 현종 10)에 강감찬(姜邯贊) 장군이 거란군을 전멸시킨 곳이며, 그 후 정주방어사(定州防禦使)를 두었다. 1231년(고려 고종 18) 몽골 침입 때 병마사 박서(朴犀)가 끝까지 싸운 공으로 정원대도호부(定遠大都護府)로 승격되고, 후에 정주도호부, 정주목(定州牧)이 되었다. 다시 주치(州治)를 마산(馬山) 남쪽으로 옮기고, 1456년(조선 세조 1)에 고구주(古龜州) 땅을 나누어 구주군(龜州郡)을 두었으며, 67년(세조 12)에 주치를 수천(隋川)으로 옮기는 등 변동을 거듭하다가 1895년(고종 32)에 정주군(定州郡)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에 곽산군(郭山郡)을 흡수하였다. 곽산(郭山)은 원래 고려시대의 장리현(長利縣)이었으며 994년(고려 성종 13)에 (徐熙)가 외교담판으로 수복한 강동6성(江東六城)의 하나로 곽주(郭州)라 하였고, 1018년(고려 현종 9)에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1221년(고종 8)에 정양(定襄)으로 강등되었고, 31년(고려 원종 18) 몽골의 침입을 피하여 해도(海島)로 들어갔다가 61년(원종 2)에 다시 나와 수주(隋州)에 속하였다. 1371년(공민왕 29)에 다시 군이 되고, 1413년(조선 태종 13)에 곽산(郭山)으로 개칭되었으며, 그 후 여러 차례 변천을 거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정주군(定州郡)으로 흡수되었다. 정주군(定州郡)은 정주읍(定州邑)과 고안(高安) ·관주(觀舟) ·안흥(安興) ·옥천(玉泉) ·갈산(葛山) ·덕언(德彦) ·남서(南西) ·임포(臨浦) ·곽산(郭山) ·대전(大田) ·고덕(古德) ·마산(馬山) 등 12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군의 일부지역을 곽산군·운전군에 넘겨주고, 정주면·고안면·덕언면·길산면의 전역과 남서면의 일부를 합쳐서 이루어졌다. 1954년 10월에는 운전군 일부를 정주군에 편입하였다. 1993년 1개읍(정주), 28개리, 1개 노동자구로 편성되었다가 1994년 8월 정주시(市)로 승격되었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