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산업

1차산업

[ primary industry , 一次産業 ]

요약 농업·목축업·임업·어업 등 직접 자연에 작용하는 산업의 총칭.

대표적인 예는 농업이다. 2차산업(제조업·건설업·광업 등), 3차산업(상업·금융업·운수통신업 등 서비스업)에 비하면 1차산업은 생산성 향상의 정도가 낮다. 이것은 콜린 클라크의 분류에 따른 명칭으로, 콜린 클라크에 의하면 이러한 각 그룹이 차지하는 가중치(加重値:weight)가 그 나라의 경제발전단계의 지표로서 경제발전도가 높은 나라일수록 1차산업에 대한 2차산업, 2차산업에 대한 3차산업의 가중치가 커진다.

세계 각국의 산업은 각 나라의 역사적인 사정, 천연자원의 분포상황, 경제의 발전단계 등의 상위에 따라 다르나, 개괄해서 보면 선진공업국의 산업별 국민소득 중 1차산업의 비중은 대폭 저하하고 있는 데 반하여, 발전도상국은 상당히 높다. 한국의 경우도 1차산업의 비중이 저하되어가는 추세인데, 이는 경제개발계획의 추진에 따라 경제가 고도성장을 이룩하여, 2차·3차 산업 특히 제조업의 생산성이 향상됨으로써 상대적으로 1차산업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