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인구

[ population , 人口 ]

요약 주민수 또는 인간집단.

인구의 증감이나 평균수명·연령별 구성 등에 의해서 그 성격을 알 수 있다.

인구조사는 원부(原簿)에 의한 간접조사와 특정시점(特定時點)에서 조사대상 전역에 걸쳐서 개인별로 조사하는 직접조사가 있다. 선진국에서는 대개 인구조사가 행하여지고 있으나 후진국에서는 인구조사를 잘 안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세계의 총인구는 추정에 의한다. 인구조사를 국세조사(國勢調査)라고 할 정도로 인구수는 한 나라의 국세 전반을 파악하는 기본적인 수치가 되므로 인구의 연구는 각 방면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인구학(人口學)은 인구의 재생산과정(再生産過程)을 중심으로 인구증가문제를 취급하고 있으나 수(數)를 취급하기 때문에 통계학적인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출생·사망 등 인구의 자연동태에 대해서는 위생학의 과제가 되어 있고, 전입(轉入)·전출(轉出) 등 인구이동의 문제는 민족학(民族學)·사회학(社會學)의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인구를 지탱하는 생산력의 문제는 식량·노동문제와 관련해서 경제학의 주요문제가 되어 인구론의 중심과제가 되고 있다. 또 지구상의 인구분포나 도시와 농촌과의 인구배분 등은, 자연환경·사회환경과의 관련에서 인문지리학의 주요 연구대상으로 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우리나라의 인구문제 일찍이 산업화를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룩한 선진국에서는 자녀에 대한 가치관 변화 및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등으로 출산율이 낮아져, 인구가 정체 혹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생활 수준의 향상과 의학 기술의 발달로 평균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 인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노동력 부족과 노년 인구 부양비 증가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대다수의 선진국처럼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출산율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저출산 사회를 넘어, 지난 2001년에 이미 초저출산 사회로 진입하였고, 2005년에는 세계 최저 출산율을 기록했던 바 있습니다. 이러한 저출산 현상은 결혼연령이 상승하고 자녀출산을 기피하면서 심화되었고, 소득 불균형과 고용 불안으로 인해 자녀 양육 부담이 증가한 것도 커다란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한편, 한 사회의 인구 구성에 65세 이상 노년층 인구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는 현상을 고령화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2010년에 노년층 인구 비율이 11.3%가 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20년에는 20%가 넘어 초고령 사회가 되었습니다. 평균 기대 수명이 길어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오늘날의 고령화는 출산율 감소가 더 큰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즉, 유소년층 인구의 급속한 감소가 경제 활동이 가능한 청장년층의 감소를 가져왔고, 이것이 고령화의 속도를 계속해서 앞당기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저출산 문제를 해소하려면 결혼과 출산, 양육에 대한 부담이 적도록 지원하고, 아이들이 자라는 데 안전하고 건전한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또한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여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만들고, 노인들에게 필요한 주택, 여가, 요양 시설 등을 확충하며, 노인들의 질병, 빈곤, 고독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겠습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