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이동

인구이동

[ human migration , 人口移動 ]

요약 경제적·문화적·지리적·인구학적 요인에 의해 인구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

국제연합(UN)은 인구이동을 '지리상의 단위지역에 있어서의 지리적 유동성, 즉 공간적 유동성의 한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출발지에서 목적지로의 주소변경을 수반하는 것'이라고 규정짓고 있다. 따라서 이 정의(定義)에 따르면 통근이나 계절이동, 품팔이, 단기간의 여행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인구이동은 전출(轉出)과 전입(轉入)을 포함하는 국내 인구이동과 이주를 포함하는 국제 인구이동으로 구별된다.

국내 인구이동은, ① 이동자의 집단성에 의하여 단신이동·가족이동·집단이동으로 구분되고, ② 이동지역에 따라 지역사회 내 이동·도시농촌 간 이동·도시 간 이동으로, ③ 이동시간에 따라 정기이동·계절이동으로, ④ 이동목적에 따라 직업이동·연유(緣由)이동·취학이동 등으로 구분되나, 근대사회에는 직업이동에 따른 단신 혹은 가족단위의 반영구적인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동이 그 중심이 되고 있다. 추계방법에는 센서스의 출생지별 인구수에서 이동량을 추계하거나 생존율법(生存率法)에 의해 이동순량(移動純量:전출과 전입의 차를 나타낸 것)을 추계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는 연령별·성별의 이동순량을 추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동태 통계를 이용해서 이동순량을 추계하는 방법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UN은 인구이동의 요인으로, ① 경제적 요인, ② 인구학적 요인, ③ 문화적 요인, ④ 지리적 요인을 들고 있으나, 그 중 하나로써 이동요인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많은 경험적인 연구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인구이동에 관한 법칙이라는 것이 확립되어 있지 않는 것은 인구이동이 그만큼 복잡하며 사회적·경제적·정치적인 많은 요인이 복합된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상으로 나타난 민족의 대이동에는 4∼5세기의 게르만족의 이동을 비롯하여, 핀족(族)의 유럽에의 이동, 7∼8세기의 노르만인의 이동, 17세기 초 종교적인 이유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청교도들의 이동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인구이동은 경제적인 발전을 위한 것으로, 유럽 여러 나라에서 신대륙으로 이동한 것이 좋은 보기이다. 국내에서의 인구이동도 많아 미국·캐나다의 동부에서 서부로 향한 개척인의 이동, 러시아에서 시베리아를 개발하기 위한 동쪽으로의 이동, 중국인의 허베이[華北]지방에서 둥베이[東北:滿洲] 지방으로의 이동, 1930년대의 한국 남부지방에서 관북(關北) 공업지대로의 이동 등과, 각국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산업의 발달로 농촌인구가 도시로 집중하는 현상도 국내이동에 속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인구 이동 사람들은 삶의 조건이 더 나은 곳으로 이동하려고 합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인구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인구이동이라고 합니다. 인구 이동의 원인에는 인구를 밀어내는 배출 요인과 인구를 끌어들이는 흡인 요인이 있습니다. 빈곤, 실업, 낮은 임금, 열악한 주거 환경, 교육/문화/의료 시설 부족 등은 인구를 배출하는 요인이 되고, 풍부한 일자리, 높은 임금, 쾌적한 주거 환경, 다양한 교육/문화/의료 시설 등은 인구를 흡인하는 요인이 됩니다. 인구 이동은 그 범위에 따라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국제 이동과 한 국가 내에서 이동하는 국내 이동으로 구분됩니다. 먼저 인구의 국제 이동은 대개 경제적, 종교적, 정치적 이유 등으로 일어납니다.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풍부한 일자리와 높은 임금을 찾아 이동하는 경우는 경제적인 이유의 인구 이동입니다. 과거 영국의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이주했던 것은 종교적인 이유의 인구 이동이며, 민족 탄압, 독재 정치, 내전 등을 피해 이동하는 경우는 정치적인 이유의 인구 이동이 됩니다. 또한 노예 무역을 통해 아프리카 흑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한 것과 같이 이주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인구 이동도 있었으며, 오늘날에는 휴양이나 유학 등을 위한 일시적인 이동도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다음으로 인구의 국내 이동은 그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동하는 이촌향도 현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반면, 선진국에서는 쾌적한 환경이나 여유로운 삶을 찾아 도시 주변의 교외 지역이나 농촌으로 이주하는 역도시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의 인구 이동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일제 강점기에는 광공업이 발달한 북부 지방으로의 국내 이동이 있었고, 일제의 탄압을 피한 이주나, 징병, 징용으로 인한 국제 이동이 많았습니다. 광복 후에는 해외 동포들이 다시 국내로 귀국하였고, 6.25전쟁 때에는 피난민들이 다수 남부 지방으로 이동하였습니다. 1960년대에는 급속한 산업화로 이촌향도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수도권과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되었으나, 인구 밀집으로 인해 도시의 생활 환경이 악화되자 1990년대 이후로는 대도시의 인구가 주변으로 일부 분산되며 역도시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최근에는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는 등 외국에서 우리나라로의 인구 이동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