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Stele of Master Wonrang from Wolgwangsa Temple Site, Jecheon , 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

요약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탑비.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크기 전체 높이 3.95m, 비신 높이 2.26m, 비신 너비 0.97m, 두께 24cm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리시대 승려 원랑선사(圓朗禪師) 대통(大通)의 탑비(塔碑)이다. 탑비(부도비)는 승려의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행적 등을 기록한 비석으로, 고승(高僧)이 입적한 후 그의 죽음을 추모하고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 세웠다. 비문에 적힌 기록을 통해 이 탑비의 주인공이 대통이며, 대통이 입적한 883년(신라 헌강왕 9)으로부터 7년 후인 890년(신라 진성여왕 4)에 비석이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원래는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월광사지에 있었으나, 1922년 경복궁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존·전시되고 있다.

원랑선사 대통

대통(大通)은 816년(신라 헌덕왕 8)에 태어나 883년에 입적한 통일신라시대 승려이다. 845년(신라 문성왕 7) 성린(聖鱗)으로부터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승려가 되었고, 무염(無染)에게서 선법(禪法)을 수학하였다. 이후 856년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징허(澄虛)의 밑에서 불법을 공부하였다. 866년(신라 경문왕 6)에 귀국하여 월광사(月光寺)에 머무르며 후학을 양성하였고, 법요(法要)를 선양(宣揚)하였다. 대통의 명성이 널리 알려지자 경문왕은 대통에게 칙서(勅書)를 내려 공경의 뜻을 전했다. 883년 월광사에서 대통이 입적하자, 헌강왕은 ‘원랑선사(圓朗禪師)’라는 시호(諡號)와 ‘대보광선(大寶光禪)’이라는 탑호(塔號)를 내렸다

탑비의 구성과 양식

귀부·비신·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석의 전체 높이는 3.95m이고 이 중 비신의 높이는 2.26m, 너비는 97cm이다.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본문 이미지 1

귀부(龜趺)는 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로, 비신과 이수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귀부의 얼굴은 용의 형상으로 묘사되었으며, 등에는 육각형 모양의 귀갑문(龜甲文)이 새겨져 있고, 그 안에 꽃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비좌(碑座: 비신을 세우기 위해 홈을 판 자리)의 각 면에는 연꽃 문양이 음각되어 있으며, 비좌 주변으로 구름 문양을 장식했다.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본문 이미지 2

비신(碑身)은 탑비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대통(大通)의 생애에 대한 기록이 새겨져 있다. 당대 명문가였던 김영(金穎)이 비문을 지었고, 순몽(淳蒙)이 구양순(歐陽詢)의 해서체(楷書體)를 따라 글씨를 썼다. 

이수(螭首)는 탑비의 머리 부분으로 장식적인 역할과 비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수의 앞면 중앙에 위치한 제액(題額: 비석의 명칭이나 비석의 주인공을 새긴 부분)은 현재 마모되어 판독이 불가한 상태이고, 제액을 중심으로 용·구름·연꽃 등을 조각하여 이수를 장식했다.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본문 이미지 3

가치 및 의의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는 통일신라시대 선사(禪師)였던 원랑선사 대통의 탑비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비석에 새겨진 비문에는 대통의 행적뿐만 아니라 당시의 사회 제도, 불교 문화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어 역사학·불교학에서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며, 비석에 쓰인 글자는 금석학·서예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전체적인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귀부와 이수의 화려한 조각 장식은 통일신라시대 탑비의 대표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조항목

대통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