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교육

예술교육

[ art education , 藝術敎育 ]

요약 자연을 대상으로 창조적 ·직관적으로 미적(美的) 이념을 습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교육.

교육사적 입장에서 볼 때, 예술교육은 그리스 ·로마 시대에 크게 번성하였으나, 산업혁명 이후 근대국가의 산업화 및 기계문명의 발달에 따라 점차 쇠퇴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학교교육의 목적과 기능이 인문교육에서 점차 자본주의사회가 요구하는 직업적 실학(實學)주의의 경향으로 흘렀기 때문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이르러 영국독일을 중심으로 서유럽 각국에서 일어난 예술교육의 운동은 이와 같은 직업적 교육의 근본적 방향에 개혁을 시도하면서 전인교육의 목적을 정립함에 따라 창조적 활동과 생산적 활동 및 인간성의 함양과 자아표현의 수단으로서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정받게 하였다. 특히 영국의 H.리드의 저서 《예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Art》(1943) 《예술과 인간의 진화:Art and the Evolution of Man》(51) 등은 예술교육의 방향을 정립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20세기부터는 초등교육유아교육에서 예술교육의 의미와 역할이 크게 확대되었는데, 이는 예술적 재질이 있는 소수의 어린이를 선발하여 그들의 재능을 계발하는 전문적 천재교육이 아니라, 모든 어린이의 창조적 활동을 계발하고 심미감(審美感)을 육성하기 위한 교양교육인 것이다. 논리적인 인식이나 과학적 사고력을 키워나가는 것이 학교교육의 중요한 기능이지만, 인간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심리적이고 감성적인 정조(情操)와 정서, 그리고 심미와 가치 등도 중시되어야 한다. 즉, 인간의 생활 중에는 논리적인 사고뿐만 아니고, 예술적 감동이나 의지적 행동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술교육이란 어린이의 감동을 통해서 나타나는 형상 ·색상 ·음률 ·동작 ·언어 등으로 사물을 생생하게 표현하게 하고, 이와 같이 표현된 예술작품을 재현 ·감상시키는 교육과정에서 인간의 다양한 능력을 전면적으로 발전시켜 어린이의 전인교육에 이바지하는 일이다.

예술교육의 주요한 방향은 ① 소수의 천재교육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모든 학생에게 균등한 기회를 부여하여 교양필수교육으로 이수시키고, ② 예술만을 위한 교육이라기보다는 정서교육의 수단으로 인식하며, ③ 소재를 음악과 미술 등에 국한하지 않고 모든 가능한 표현과 재료의 활용 및 그 중요성을 인정하고, ④ 예술교육을 독립된 교과로서 폐쇄적으로 다루지 않고 다른 교과와 융합시켜 지도하는 데 있다. 따라서 예술교육에서는 사회생활 및 문화적 배경과 관련시키면서 그 특징을 파악하는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또한 현실사회의 인식에 이바지하며 아울러 예술적인 것을 취하는 방법을 터득함으로써 예술의 진가를 생활화(生活化)하게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