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철학

영국철학

[ 英國哲學 ]

요약 영국에서 생기고 발달한 철학.

영국철학 고유의 일반적인 성격은 추상적 사변성(抽象的思辨性)에 대한 구상적 실증성(具象的實證性)이며, 그 관심도 순이론적인 것보다는 실천적 의식에 뒷받침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형이상학(形而上學)보다도 인식론적인 문제의식을 발생시키고, 또 인식론으로서도 합리론(合理論)보다 경험론적 경향을 나타낸다. 실천철학(實踐哲學)에서는 도덕과 법률·정치와의 상관성이 긴밀하고, 또 목적론적·공리주의적 성격이 강하다.

중세

영국의 철학적 활동은 펠라기우스(5세기)까지 소급된다. 그러나 근대국가의 탄생 이전은 영국철학도 라틴어를 학문의 공통어로 하는 범유럽적인 스콜라 신학 안에서 논하는 것이 타당하다. 요크의 알쿠인(8세기), 특히 J.S.에리우게나(9세기)가 저명하다. 그러나 R.베이컨, W.오컴 등은 중세(13∼14세기)에 벌써 전술한 영국철학의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후자의 유물론과 사유경제설적(思惟經濟說的)인 예리한 사상은 스콜라 철학의 내부 붕괴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근세

근대 국가의 형성에 따라 영국철학도 범유럽적 성격을 버리고 모국어를 표현수단으로 하는 독자적인 성격을 분명히 하였다. ⑴ 15∼17세기:르네상스기의 사회 ·법사상가라고 할 수 있는 T.모어, R.후커 등이 이 새 시대를 알려주었다. 그러나 영국 고대철학의 진정한 탄생은 F.베이컨에서 찾을 수 있다. 그의 《학문의 진보》 《신기관(新機關)》은 지식에서의 실험과 관찰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아리스토텔레스에 유래하는 고전적·연역적 논리에 대하여 귀납법을 제창하였다. 그는 또 자신의 정치가로서의 활동을 통하여 영국 근대국가의 기원인 튜더 왕조 최후의 엘리자베스 여왕시대를 상징하였다.

그로부터 비롯된 영국철학은 홉스의 기계관적 자연관(機械觀的自然觀)에 바탕을 둔 합리주의에 의하여 유물론의 형이상학이 되었다. 또 T.홉스의 《리바이어던》의 윤리·법철학은 개인주의 ·쾌락주의 ·사회계약설을 인정하면서도 극단적인 전제정치(專制政治)를 옹호하는 특이한 이론이지만 이것은 청교도혁명, 크롬웰의 공화제를 거쳐서 왕정복고(王政復古)에 의하여 재확립된 스튜어트 왕조의 체제를 대변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르네상스기의 고전 중시(古典重視)라는 전유럽적 경향은 영국에서도 독자적인 플라톤 사상의 부흥과 연구를 탄생시켰다. H.모어, 커드워스 등 케임브리지 플라톤학파의 형이상학은 바로 그 결과이다.

⑵ 18세기:그러나 프랑스 ·독일 등에 영향을 끼치고 영국사상의 전통을 확립한 독창적인 철학은 J.로크, G.버클리, D.흄의 소위 경험론의 트리오에 의하여 대표된다. 로크의 《인간오성론(人間悟性論)》은 R.데카르트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뉴턴 물리학을 배경으로 하여 인식의 발생이 경험에 유래한다는 경험철학을 완성하였으며, 또한 인지(人知)의 한계와 가능성을 논하는 인식론, 비판철학의 방향을 명확히 내세웠다.

또 홉스와 대조적으로 로크의 법철학·정치사상은 근대 시민사회의 민주주의, 따라서 시민의 자유와 인권, 종교적 관용을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홉스 이후의 영국 정치사에서 명예혁명을 대변하고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또한 그의 철학이 종교적으로는 이미 17세기 전반기에 J.F.헤르바르트가 주장한 경향을 조장하고 J.톨런드에 의한 이신론(理神論)을 탄생시켰다.

로크의 인식비판(認識批判), 특히 언어론(言語論)과 실체비판(實體批判)은 버클리에 의하여 추상관념과 물체적 실체의 비판으로 계승되었다. 로크는 결국 신·정신·물체 등 3실체의 존재를 인정하고, 버클리는 물체적 실체의 부정 대신 정신적 실체에 적극적 의미를 인정하여 만유내재신론(萬有內在神論)의 형이상학에 도달하였는데, 이 방향을 현상론(現象論)·내재주의(內在主義)로 철저히 밀고 나간 사람은 흄이었다.

그는 뉴턴의 실험적 방법을 인간과 그 인식의 연구에 응용하고 배후에 깊이 뿌리박힌 자연주의적 경향을 유지하면서도 실체개념과 인과율(因果律)의 절대성 부정에 의하여 경험과학을 극한까지 밀고 나갔다. 동시에 그는 그것을 정념(情念)과 도덕의 연구에 적용하여 종교적 배경을 떠난 근대인간학의 건설을 촉구하였다. 그의 동시대 또는 이후의 도덕감정학파(컴버란트, 클라크, 샤프츠버리, 허치슨, 아담 스미스 등)의 사상은 홉스의 냉엄한 이기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반발인 동시에 흄의 근대인간학의 전개이기도 하였다.

한편 흄의 내재주의는 이성(理性) ·학문 ·신학이론의 확실성을 뒤흔드는 회의주의적 귀결까지도 나타냈다. T.리드를 대표로 하는 스코틀랜드 상식학파(常識學派)는 흄에 의존하면서도 그의 심리주의적 전제를 비판하고 상식에 의한 실재(實在)의 파악, 지식·신앙의 옹호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⑶ 19세기:경험론의 전통은 산업혁명의 완성과 의회정치에 의한 대영제국(大英帝國)의 기초확립 시대에 J.벤담과 밀 부자(父子)에게 계승되었다. J.S.밀의 《논리학》은 베이컨의 귀납법을 더욱더 전개하여 경험론의 전통을 정리 확장시킨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중요한 의의는 흄의 도덕사상의 일면을 밀고나가 이기주의(利己主義)를 초월한 쾌락주의(快樂主義) 이론, 사회 성원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주장하는 공리주의(功利主義)를 명쾌하게 표현한 점에 있다.

그들의 활동은 19세기 후반까지 이르지만 이후 20세기에 걸쳐서 영국철학에는 대조적인 두 방향이 있었다. 즉, 한편으로는 다윈의 진화론(進化論)에 영향받고 스펜서를 대표로 하는 진화론의 철학, 또 급속한 자연과학의 발달로 촉구된 자연주의의 경향, 다른 한편으로는 옥스퍼드를 중심으로 독일 관념론에 영향받고 스털링, 그린, 케어드, 그리고 보즌킷, 브래들리 등을 정점으로 하는 영국 헤겔학파의 관념론 ·이상주의이다. 

현대

⑴ 1930년대:영국의 전통파와 이질적인 헤겔학파의 관념론은 B.러셀, G.E.무어, L.비트겐슈타인, 브로드 등 새로 대두된 케임브리지 분석학파의 비판을 받아 쇠퇴해갔다. 19세기 전반 해밀턴, 로이드 모건, 특히 G.볼에 의하여 획기적으로 발달한 논리학은 독일의 프레게에 의하여, 그리고 러셀, A.N.화이트헤드의 《수학원리》에서 일단 집대성되었다.

러셀, 비트겐슈타인 등의 철학은 이 현대논리를 배경으로 하여 영국 관념론에 대한 실재론의 경향 및 경험론의 전통과 새로운 논리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논리적 원자론의 주장이 되었다. 이 움직임은 제2차 세계대전 전 빈에서 일어난 논리실증주의(초기의 A.G.에어는 영국에서의 유력한 대변자)와도 관련을 가지고 실증주의적·반(反)형이상학적 철학이 되었다.

⑵ 제2차 세계대전 이후:그러나 그들에게 남아 있는 형이상학적 생태, 논리실증주의 운동의 종식과 이론적 결합, 비트겐슈타인의 사상변화에 유래하는 후기의 이론, 무어의 영향 등에 의하여 일상언어 분석학파가 현대 영국철학의 주류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그것은 형식논리 등의 인공언어에 의하지 않고 일상언어를 매개 ·수단으로서 그 다양한 용법의 현상학적 분석을 통하여 철학적 개념과 문제의 비판적 해명을 하는 것을 철학의 기본적인 일로 생각하는 입장이다.

이 운동은 제2차 세계대전 전에 준비 진행되다가 전후에 표면화되었고, 철학적 문제의 논구(論究) 방법과 표현 등에 현저한 변화를 보였으며, 또 고전연구의 전통과도 결부되어 그 중심도 케임브리지에서 옥스퍼드로 이행되었다. 라일, 스트로슨, 오스틴 등은 이 입장의 대표자들이다. 현재 진행중인 이 경향에 대하여 성급한 평가는 삼가야겠으나 그것은 서유럽 비판철학의 하나의 귀결인 영국적 표현이라고 하겠다. 또한 그것은 미국 프래그머티즘과의 사이에 활발한 논쟁과 상호영향 및 융합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