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

연화

[ New Year Prints , 年畵 ]

요약 정월에 민가의 문이나 실내 등에 장식하는 중국의 민중회화.
원어명 nianhua

정의

중국 민간에서 이어져오는 일종의 채색화로, 행복, 장수, 건강과 안녕, 다산(多産)와 풍요 등을 기원하는 일종의 길상화(吉祥畵)이다. 주로 채색판화 형식으로 제작되며, 집의 문이나 실내의 벽 등을 장식한다. 중국의 정월인 춘절(春節) 기간에 이전의 연화를 떼어내고 새 것으로 교체하며 "옛 것을 보내고 새로운 것을 맞이한다."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의미를 되새기기도 하지만, 그 외 기간에도 제작하고 소비되기도 한다. 다채롭고 생생한 색감과 역동적 구성과 같은 조형적 특징, 그리고 판화의 특성으로 인한 대량생산 및 저렴한 가격 등의 특징이 있다. 주제 면에서는 대개 집을 지키는 수호신과 같은 길한 신의 이미지, 동물, 미인도나 아이, 위인이나 소설, 연극 속 인물, 교훈적 이야기나 대중적 서사 등을 소재로 하며, 중국 전역에서 유사한 도상과 주제가 공유되었다.

배경과 역사

1년의 행복과 장수, 건강 등을 기리는 연화의 형식은 민간에서 오랫동안 이어져온 전통으로 그 시작을 정확하게 이야기하기엔 어려움이 있지만, 대(唐代)의 판본일력서(달력)와 도석존상에서 기원하였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고대 지리서인 《산해경 山海經》 등 그 이전에도 길상의 목적으로 제작된 그림을 언급하는 문서가 있어 일찍이 오대(五代) 이전의 화기(畵記)에도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대(唐代)에 이르러 수호신과 기념상(析念像)을 집에 전시하는 풍습이 더욱 확산되었으며, 송대(宋代)에는 사회경제적 번영과 인쇄기술의 발달 등으로 연화의 전형이 완성되었고, 본래 붓으로 그려졌으나, 이후 종이를 오려서 만드는 전지(剪紙) 또는 목판화로 만들어졌다. 또한 이 시기 대량생산되고 널리 소비되기 시작하며 춘절 풍습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직인화(職人畵)라고 하여 문인(文人)들의 비하를 받았지만, 풍부한 내용과 소박한 양식으로 서민층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몽골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원대(元代)에는 쇠퇴했다가, 명대(明代)와 대(淸代) 다시 부흥하였다. 이 시기 기법은 보다 세련화되었고, 주제면에서도 기존의 신과 위인, 동물 등에서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소설 연극 등의 장면, 미인도, 풍자적 내용 등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이시기 목판인쇄기술의 발전을 통해 가능해진 대량생산 및 유통에 힘입어 연화는 농촌 지역은 물론 중국 전역에 확산되었다. 연화를 전문적으로 생산 유통하던 화방(畫坊)이 곳곳에 만들어졌는데, 명대 말기에는 이미 전문적인 생산지가 생겨나 쑤저우(蘇州)의 도화오(桃花塢)나 텐진(天津)의 양유청(楊柳靑) 등이 유명하였다. 특히 양유청 연화는 북경의 상류층을 중심으로 애호되었으며, 동북부와 내몽골까지도 유통되었다.

근대화가 이루어지던 19세기 후반~20세기 초 연화의 전통은 '과거의 것', '미신', '진보의 장애물'로여겨지며 격퇴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또한 제1차 중영전쟁(1840∼1842)을 고비로 민중생활이 궁핍해지자 점차 쇠퇴하였다. 하지만 전쟁이나 혁명과 같은 시대적 주제, 현대적 주제 등을 담아내며 재해석, 생산되었고, 특히 루쉰이 이끈 목판화 운동이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중국 주요 민간 문화의 하나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주제

신선이나 수호신과 같은 신상(神像), 길한 동물 등의 이미지를 제외하고는 주로 서민의 이상이나 생활감정을 표현한 것이 많으며, 이후 미인도나 통통한 아이의 도상, 역사적 사건이나 설화, 소설이나 연극 등으로부터 유래한 서사적 도상 등도 확산되었다.

참조항목

루쉰, , , 중국미술, , 춘절

역참조항목

경화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