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수리조합반대운동

연해수리조합반대운동

[ 延海水利組合反對運動 ]

요약 1920년대 황해도 연백 ·해주에서 수리조합에 반대하여 일어난 농민운동.

산미증식(産米增殖) 계획의 일환으로 설립되기 시작한 수리조합은 수리조합비의 과다 징수, 일본인 대지주의 토지겸병과 조선인 중소지주의 몰락, 소작료의 인상 등을 가져와 전국 각지에서 광범위한 수리조합반대운동이 일어났다. 1920년대 초 연백 ·해주에 광대한 소작지를 가진 선만개척주식회사(鮮滿開拓株式會社)가 중심이 되어 수리조합을 설립하려고 한 데서 시작되었다. 1922년 9월 농민들은 총독부 앞으로 탄원서를 냈으며, 1923년 6월에는 지주 1,500명이 연명으로 날인한 진정서를 총독부에 제출하기 위해 대표를 경성(서울)으로 보냈다. 1924년 8월 선만개척의 수리시설 때문에 피해를 본 지주 대표 16명이 황해도청에 가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였으며, 1925년 10월까지 반대운동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1925년 11월 총독부의 허가를 받아 연백수리조합이 설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