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종

아종

[ subspecies , 亞種 ]

요약 생물분류학상 종(種)의 하위단계로 동일한 종 중에서 주로 지역적으로 일정한 차이를 가지는 집단이 인정될 때에 사용된다(地方變異).

일반적으로 아종끼리의 생식적 격리는 불완전하다. 에른스트 마이어(Ernst Mayr)는 "아종은 한 종에 속하는 집단 중 표현형적으로 비슷한 집단들의 모임으로, 그 종의 지리적 분포 구역의 한 부분에 살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 사는 그 종의 다른 집단들과 분류학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정의하였다.

아종의 명명법

아종을 나타내는 데는 삼명식 학명(三名式學名)을 사용하여 속명·종명·아종명의 순으로 기술한다. 아종명 다음에 명명자의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인류는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로 분류되며 이 안에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두 아종이 포함된다. 네안데르탈인의 학명은 호모 사피엔스 네안데르탈렌시스(Homo sapiens neanderthalensis)이며 현생인류의 학명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이다.

다형종과 단형종

아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종을 단형종(monotypic species)이라 하며, 하나 이상의 아종을 가지고 있는 종을 다형종(polytypic species)이라 한다. 한 종의 아종들은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지만 생식적으로는 격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두 아종이 만나는 지역에서는 두 아종 사이에 교배가 이루어져 중간형이 생길 수 있으며, 아종간에 유전적 교류가 없이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각기 서로 다른 종으로 분화될 수 있다.

아종의 예

기린에는 총 9개의 아종이 속해 있으며, 학명이 판테라 티그리스(Panthera tigris)인 호랑이의 경우에는 총 8종의 아종이 존재하였으나 이 중 자바호랑이, 발리호랑이, 카스피언호랑이는 멸종되었으며 현재 시베리아호랑이(Panthera tigris altaica), 수마트라호랑이(Panthera tigris sumatrae), 벵갈호랑이(Panthera tigris togris), 아모이호랑이(Panthera tigris amouensis, 남중국호랑이), 말레이호랑이(Panthera tigris corbelti, 인도차이나호랑이)만이 존재한다. 또한 개의 학명은 카니스 루푸스 파밀리아리스(Canis lupus familiaris)로 회색늑대(Canis lupus, 말승냥이)의 아종에 속한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