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편

송편

요약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알맞은 크기로 떼어 거기에 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어 솔잎을 깔고 찐 떡.
송편

송편

국가 한국
구분
주재료 멥쌀가루

송편은 본래 추석 때 햅쌀과 햇곡식으로 오려송편(추석에 햇곡식으로 빚은 것)을 빚어 한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조상의 차례상 등에 바치던 명절떡이었는데, 요즈음에는 계절과 관계없이 만들어 먹는다. 솔잎과 함께 떡을 찌기 때문에 송병(松餠) 또는 송엽병(松葉餠)이라고도 부른다. 소는 깨 · · ·녹두 ·밤 등이 사용되어 소로 무엇을 넣느냐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고 소를 준비하는 절차 또한 재료에 따라 다르다. 

지역에 따라서도 재료와 모양에 차이를 보이는데, 서울과 경기에서는 오미자, 치자, 쑥 등으로 다양한 색을 낸 오색송편을, 강원도에서는 감자녹말을 사용한 감자송편을, 충청도에서는 호박으로 반죽한 호박송편을, 전라도에서는 모시잎을 넣어 반죽한 모시송편을, 경상도에서는 칡가루를 섞어 반죽한 투박하고 큼직한 모양의 칡송편을, 제주도에서는 완두콩으로 소를 넣어 만든 비행접시 모양의 송편을 만들어 먹는다.

유래

송편의 반달 모양에 관해서는 다양한 유래가 존재한다. 《삼국사기》의 백제본기에서는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 때 궁궐 땅속에서 발견된 거북이 한 마리에 관한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다. 거북이의 등껍질에는 ‘백제는 만월, 신라는 초승달’이라고 쓰여있었고, 왕이 무당을 불러 그 뜻을 묻자, 무당은 백제는 꽉 찬 만월이라 이제부터 기울 것이고, 신라는 초승달이라 앞으로 점점 커져 만월이 될 것이라 하였다. 이에 왕이 노하자 어떤 이가 백제는 가득 찼으니 번성한 것이고, 신라는 반만큼 차 앞으로 쇠약해질 것이라고 해석했다. 일설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곧 신라까지 퍼졌고, 반달 모양의 떡을 만들며 신라가 번성하길 빌었다. 이후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루자, 만월보다 반월이 더 나은 미래를 희망하는 의미가 되어 송편을 반달로 빚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조리법

팥과 녹두를 불린 다음 거피하여 찌고, 콩은 껍질을 까 놓고 깨는 볶아서 깨소금을 만든다. 팥과 녹두는 설탕을 넣어 약한 불에서 볶고 팥·깨에는 설탕과 계핏가루를 섞는다. 콩은 소금을 조금 섞어 뒤적거려 놓고 밤은 껍질을 벗겨 4쪽 또는 2쪽으로 썰어 소를 준비한다. 반죽한 쌀가루는 마르지 않게 젖은 보자기 등으로 덮어둔다. 떡을 빚을 때는 반죽덩이를 조금씩 떼어 둥글게 한 다음 왼손 끝에 쥐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구멍을 파서 거기에 준비한 갖가지 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는다.

시루에 솔잎을 깔고 송편을 서로 달라붙지 않게 떼어서 한 켜 얹고 다시 솔잎을 깐다. 이런 식으로 여러 켜를 얹은 다음 시룻번을 바르고 찐다. 다 찌면 시루를 내려 놓고 뜨거울 때 꺼내어 냉수에 헹구어 솔잎을 떼내고 소쿠리에 건져 물기를 뺀다. 물기가 빠지면 참기름을 조금 쳐서 골고루 묻힌다.

참조항목

, 절식, 추석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송편은 왜 반달모양일까?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