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중국 근세에 유행하던 서정시.

본래 악곡(樂曲)의 가사로 불리던 것이었으므로 곡자사(曲子詞)라고 불리었으나, 점차 사(詞)라고 약칭(略稱)하게 되었다. 또한 전사(塡詞)·시여(詩餘)·의성(倚聲)·장단구(長短句)·악부(樂府) 등으로도 불린다. 초기의 작품으로는 중당(中唐:8세기 말∼9세기 초)의 《어가자(漁歌子)》 《망강남(望江南)》 등까지 거슬러올라갈 수 있으나, 시(詩)에서 독립한 장르로 의식적으로 많이 제작하게 된 것은 당말(唐末)로부터 5대(五代) 후이다. 한문(漢文)·당시(唐詩)·송사(宋詞)·원곡(元曲)이라고 불리듯 송대(宋代)에서 가장 유행하였고 원(元)·명(明)에 이르러서는 쇠퇴했다가 청대(淸代)에 이르러 다시 유행하였다.

작풍은 보통 완약(婉約)·호방·전아(田雅)·영물(詠物) 등 여러 파로 나뉘는데, 내용적으로 반드시 좁은 것은 아니지만 본래의 특색은 시에서는 표현하기 곤란한 섬세한 미적 의식이나 정감을 개인의 독백 형식으로 진술하는 데 있다. 문학사적으로 보면 사의 표현범위는 시 가운데 그와 같은 요소를 추출하여 확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표현형식에 있어서 당말(唐末)로부터 송초(宋初)의 작품에는 소령(小令)이라고 불리는 단시형(短詩形)이 많고 압운(押韻)의 변화·교착(交錯)이 현저하다. 북송(北宋) 중기 이후에는 만사(慢詞)라고 불리는 장편이 주류가 되었고 한 구절 안에서 리듬은 다양화했으나 압운의 형식은 오히려 단순화하였다. 소령(小令)과 만사의 중간적 성격을 띤 것을 중조(中調)라고 한다.

남송 말기경부터 반주음악이 점차 사라지고 원래 곡조명으로 각 작품의 첫 머리에 있는 사조(詞調), 즉 사패(詞牌)는 단순히 한자의 사성(四聲)·평측(平仄)·압운·자수 등의 규칙을 표시하는 데 불과하였다. 이것은 문학으로서의 사가 음악으로부터 자립하여 독자적인 문예양식을 완성하였음을 의미한다. 주요 작자로 온정균(溫庭筠)·위장(韋莊)·이욱(李煜)·유영(柳永)·소식(蘇軾)·주방언(周邦彦)·이청조(李淸照)·신기질(辛棄疾)·강기(姜蘷)·오문영(吳文英)·납란성덕(納蘭性德) 등이 있으며, 주요 사집으로는 《화간집(花間集)》 《존전집(尊前集)》 《절묘호사(絶妙好詞)》 《사종(詞綜)》 《사선(詞選)》 등이 있다.

참조항목

서정시, 한문학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