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량

도량

[ 道場 ]

요약 부처와 보살이 머무는 신성한 곳.

석가불(釋迦佛)이 처음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成道)한 자리, 곧 보리도량(菩提道場)에서 연유되었다고도 한다. 부처와 보살이 항상 머무는 곳으로서의 도량으로, 예를 들면 미타불도량(彌陀佛道場) ·법신불상주도량(法身佛常住道場) ·문수(文殊)도량 ·보현(普賢)도량 ·관음도량 등이 있고, 불도를 공부하고 수행하는 장소 또는 불상과 보살상을 모셔놓고 예불과 치성을 드리는 곳으로서의 도량은 절[寺庵]과 같은 뜻을 가지며 또한 절을 일컫기도 한다.

불공 ·재례(齋禮) 등의 불교행사와 의식을 베푸는 자리 또는 그러한 행사로서의 도량은 주로 자연적인 여러 재앙과 나라 안팎의 병란(兵亂) 등을 물리치고 나라 안이 편안하기를 기원하는 국가적인 행사로 행하여졌다. 예를 들면 소재(消災)도량 ·기상영복(祈祥迎福)도량 ·인왕(仁王)도량 ·천제석(天帝釋)도량 ·신중(神衆)도량 ·관정(灌頂)도량 ·불정(佛頂)도량 ·사천왕(四天王)도량 ·문두루(文豆婁)도량 등이다. 이 도량불사(道場佛事)는 중국에서 행하여졌으나 한국에 들어와서는 고려시대에 지나치게 많이 베풀어졌다. 고려시대에는 위의 도량 외에도 마리지천(摩利支天)도량 ·보성(寶星)도량 ·용왕(龍王)도량 ·무능승(無能勝)도량 ·천병신중(天兵神衆)도량 ·지풍(止風)도량 ·운우(雲雨)도량 ·진병(鎭兵)도량 ·북제천병호국(北帝天兵護國)도량 등 많이 행하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