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량석

도량석

[ 道場釋 ]

요약 사찰에서 새벽에 치르는 의식의 하나.

에서 새벽 예불을 하기 전에 도량을 깨끗하 하기 위해 치르는 의식이다. 현재 우리 나라 사찰에서는 새벽 3시에 한다. 새벽에 을 두드리며 경내를 돌면서 나 게를 읊는데, 이 때 읊는 것은 신묘장구대다라니와 사방찬(四方讚)·도량찬(道場讚)·참회게(懺悔偈) 등이다. 또 이나 을 염하기도 하고, 《》 구절이나 조사(祖師)들의 게송을 외우기도 한다.

도량을 깨끗하게 한다는 의미 외에, 잠들어 있는 천지만물을 깨우며 일체 들이 미혹에서 깨어나게 한다는 의미도 지니고 있다. 또 맺힌 것을 푼다는 의미도 갖는다. 이 때 목탁은 약한 음에서 서서히 높은 음으로 올렸다가 내리기를 반복한다. 이것은 일체 중생이 갑자기 놀라지 않고 천천히 깨어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의식이 끝날 무렵에는 와 ·을 차례로 치며, 절 안에 있는 모든 대중이 에 모이면 아침 예불을 올린다.

명칭은 옛날 에서 스님들이 짚고 다니던 (錫杖)에서 유래한다고 해서 도량석의 ‘석(釋)’을 ‘석(錫)’으로 쓰기도 한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다만 에는 현재 이런 의식이 없고 문헌 자료도 전하지 않으므로 인도보다는 중국에서 생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