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군

대장군

[ 大將軍 ]

요약 신라 때의 무관직(武官職)의 으뜸 벼슬로 고려시대의 상장군(上將軍) 다음이며, 장군(將軍) 위의 벼슬인 종3품.

2군(軍) ·6위(衛)에 1명씩 배속되어 상장군과 같이 회의기관으로 중방(重房:군사기관)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무신의 권력 집중이 이루어졌다. 공민왕 때 대호군(大護軍)으로 고쳤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