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방

중방

[ 重房 ]

요약 고려시대 최고위 무신 합좌기구.

고려 중앙군인 2군(軍) 6위(衛)의 정·부지휘관인 상장군(上將軍)(정3품)과 대장군(大將軍)(종3품) 총 16명의 합좌기구로 기록상으로는 1167년 (의종 21)에 처음 등장하지만 대략 현종(顯宗)조에 완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중방 아래에는 각각 장군방(將軍房)·낭장방(郎將房)·산원방(散員房) 등이 있어 하위직급에도 나름의 합의기구가 존재했으며 관직의 서열과 같이 상하로 연결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중방은 무신들의 최고기구로서 문신들의 합좌기관인 도병마사(都兵馬使)(후의 都堂)와 대조적 위치에 있는 것이었으나 문치주의를 표방했던 고려전기에 있어서는 그 세력이 매우 약했다. 그러던 것이 1170년(의종 24)에 일어난 무신란에 의해서 중방의 위상은 크게 변화하였다.

무신정권 성립기에는 무신들간의 정권다툼이 치열해 서로 견제하기에 이르렀는데 바로 이 때문에 중방이 정치적 핵심기구로 부상한 것이다. 일종의 집단지도체제를 형성한 것인데 이때 중방의 기능은 군사는 물론 경찰·형옥·백관의 임면(任免) 등 모든 정무에 간여하고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무신집정의 지위가 확고하지 못하여 집권무신들의 전횡을 억제하는 자기조절의 기능도 수행하였다. 그러나 무신정권이 최충헌의 단독집권으로 안정화된 확립기 이후에는 교정도감(敎定都監)이라는 새로운 집권기구가 탄생하면서 중방의 권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중방 본문 이미지 1
  임연교정도감교정도감이의방정중부이의민경대승임유무김준최의최항최충헌최우정방중방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