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군

상장군

[ 上將軍 ]

요약 신라·고려·조선 시대의 무관직.

신라 때는 대장군(大將軍)의 아래직위였다. 고려에서는 최고 지휘관 응양군(鷹揚軍)·용호군(龍虎軍)·좌우위(左右衛)·신호위(神虎衛)·흥위위(興威衛)·금오위(金吾衛)·천오위(千午衛)·감문위(監門衛) 등 이군(二軍) 육위(六衛)에 각각 1명씩을 두었으며, 으뜸벼슬로서 정3품이다. 공민왕 때는 상호군(上護軍)으로 개칭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에 예속된 10위(衛)의 으뜸 벼슬로 정3품관이었다.

참조항목

상호군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