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징조약

난징조약

[ 南京條約(남경조약) ]

요약 1842년 8월 아편전쟁(阿片戰爭)의 종결을 위하여 영국과 청(淸)나라가 체결한 강화조약.
일시 1842년 8월
목적 아편전쟁(阿片戰爭)의 종결
가입국가 영국과 청(淸)

제1차중영전쟁(아편전쟁)의 결과로 맺어진 조약이며 장닝조약[江寧條約]이라고도 한다. 청나라 임칙서가 아편무역을 금지시키고 영국상인들의 아편을 몰수하여 불태우자 영국은 함대를 이끌고 양자강 하구를 봉쇄하면서 침략하였다. 무능한 청나라 군대는 연전연패를 거듭하면서 6백만불의 배상금을 지급하기로 하였고 양쪽 군대가 모두 철수한다는 광동협정을 맺었다. 하지만 이에 반발한 중국민들의 반발이 곳곳에서 일어났고 영국군 사상자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를 빌미로 영국군은 1842년 6월 상하이를 점령하고 난징으로 진격했다. 청나라는 영국과 굴욕적인 협상을 할 수 밖에 없었고 당시 난징에 정박 중인 영국 군함 콘월리스호(號)상에서 청나라 전권대사 기영(耆英)·이리포(伊里布)와 영국 전권대사 H.포틴저(1789~1856)가 난징조약에 조인하였다. 13조로 되어 있고, 1843년 6월 홍콩에서 비준서가 교환되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홍콩을 영국에 할양한다.
② 광저우[廣州] ·샤먼[廈門:Amoy] ·푸저우[福州] ·닝보[寧波] ·상하이[上海] 등 5항(港)을 개항한다.
③ 개항장에 영사(領事)를 설치한다.
④ 전비배상금(戰費賠償金)으로 1200만 달러와, 몰수당한 아편의 보상금으로 600만 달러를 영국에 지불한다.
⑤ 행상(行商) 즉, 공행(公行)과 같은 독점상인을 폐지한다.
⑥ 수출입 상품에 대한 관세를 제한한다.
⑦ 청나라와 영국 두 나라 관리의 대등한 교섭 등이었다. 

영국은 이 조약을 더욱 구체화하여 1843년 7월, 5항 통상장정(通商章程)을, 10월에 호문채(虎門寨) 추가조약을 체결하여, 영사의 재판권 인정과 수출입품의 세율 협정 및 개항장에 있어서의 조계(租界)설치 ·최혜국대우(最惠國待遇) ·조관(條款) 등의 특권을 획득하였다. 이들의 조약을 기본으로 하여 1844년에는 미국이 청나라와 망하(望廈)조약을 체결하고, 프랑스도 청나라와 황포(黃埔)조약을 체결하여 영국과 똑같은 여러 특권을 획득하였다. 난징조약을 비롯하여 이에 이어지는 그 뒤의 여러 조약은 근대 중국이 국제관계에서 부담하게 된 불평등조약의 단서가 되어, 영국을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의 경제·정치 문화·영토면에서의 중국 침략에 길을 열어준 결과가 되었다. 이후 중국은 점차 유럽 및 일본 등 자본주의 세계의 종속적인 시장으로서 재편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난징조약체결을 기점으로 해서 중국은 그동안 세상의 중심은 중국이라는 중화사상에서 깨어나기 시작했고 근대화에 대한 의식이 생겨났다.

난징조약 본문 이미지 1
난징조약톈진조약베이징조약제1차중영전쟁제2차중영전쟁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