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세르주의

나세르주의

[ Nasserism ]

요약 이집트 대통령 나세르가 주창(主唱)한 아랍민족주의.

범(汎)아랍주의 ·중립주의 ·반(反)서유럽주의를 내용으로 한다.

1952년 7월 나세르를 중심으로 하는 자유장교단(自由將校團)은 쿠데타를 일으켜 이집트왕제(王制)를 타도하였다. 1956년 대통령에 취임한 나세르는 수에즈운하의 국유화와 아랍연합창설로 대표되는 아랍민족주의정책을 추진하였다. 이것을 나세르주의라고 하며 아랍국가에 널리 영향을 미쳤다.

나세르는 그의 입장을 ‘아랍사회주의’라 하였는데, 국내적으로는 주요 기업의 국유화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정책, 당(黨) ·정부 ·의회를 일체화한 일당독재제도를 추진하였다. 외교적으로는 아랍민족의 통일과 더불어 반제 반식민지주의(反帝反植民地主義)를 내걸었으나, 한편으로는 계급투쟁을 부정하는 동시에 공공이익을 우선하여야 하는 제약 아래에서도 사유권을 보장하였고, 이슬람을 정신적 기초로 하는 아랍적 특성을 강조, 공산주의와의 차이를 명확히 하였다.

이집트에서는 그후 사다트 정권 아래에서 나세르주의가 부정되었지만, 레바논을 비롯한 아랍국가에서는 나세르주의를 주창하는 조직이 많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