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장치

기억장치

[ memory unit , 記憶裝置 ]

요약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명령어나 그 결과 값, 혹은 사용자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기록)하기 위한 장치.
하드디스크

하드디스크

중앙처리장치, 입출력장치와 함께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0'과 '1'의 이진 데이터로 저장되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주소나 저장 위치 등이 제어·관리된다.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다 보면, 제어·연산 등에 사용되는 레지스터처럼 임시 기억을 위한 공간도 필요하지만, 개인이 보관하고 있는 이미지나 파일 등과 같이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다시 실행하거나 읽어볼 수 있도록 지속해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한데, 이렇듯 필요할 때마다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가 기억장치이다.

기억장치의 종류

주로 처리 속도와 저장 용량에 따라 주기억 장치(Main Memory Unit, 主記憶裝置)와 보조 기억 장치(Secondary Memory Unit, 補助記憶裝置)로 분류된다.

· 주기억 장치 : 컴퓨터 시스템에 필요한 명령어, 연산의 결과, 운영체제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는 고속의 기억장치이다. 크게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 ROM(Read Only Memory, 롬)과 전원이 종료되면 데이터도 사라지는 휘발성 RAM(Random Access Memory, 램)으로 분류할 수 있다. RAM은 하드디스크와는 달리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형태로 데이터를 랜덤하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도 불리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하드디스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다. 또한 전원 제공 유무와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가 삭제되는 DRAM(Dynamic RAM)과 전원 공급이 계속되는 동안에만 데이터가 유지되는 SRAM(Static RAM)이 있다. DRAM은 SRAM에 비해 소비전력이 큰 반면 상대적으로 저장용량이 커서 주로 PC의 메인 메모리로 사용되며, SRAM은 용량은 작지만 상대적으로 속도가 빨라 고속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캐시메모리(Cache Memory) 등에 사용된다.

롬은 반도체 기억소자로, 일반적으로 내용을 수정할 수 없는 읽기 전용 형태의 메모리이다. 컴퓨터 부팅 시 운영체제(OS) 실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들이 담겨 있다. 이미 제조사에 의해 제품이 생산될 때 그 내용이 기록되어서 나오는 유형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래밍으로 기록할 수 있는 유형도 있다. 특히 기존에 광디스크 등을 사용하는 CD-ROM이나 DVD-ROM도 이러한 ROM의 종류에 해당한다.

· 보조 기억 장치 : 주기억장치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지만, 대용량 저장이 가능한 기억장치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자기테이프(Magnetic Tape), USB, 디스켓(diskette) 등이 있다. 주로 컴퓨터 사용자에게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 사용한다.

기억장치의 구성

기억장치는 읽고 쓰는 속도에 비례하여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중앙처리장치와 직접 연결된 기억장치는 고가의 고속 장치로 구성하여 처리 속도를 높이고, 많은 양의 데이터 보관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용량 저장 장치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