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값

극값

[ Extremal Value ]

요약 함수의 극댓값과 극솟값.

함수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합하여 일컫는 말이다. 함수가 어떤 점에서 그 부근에서 가장 큰 함숫값을 가질 때 극댓값이라 하고, 반대로 그 부근에서 가장 작은 함숫값을 가질 때 극솟값이라 한다. 다음과 같은 함수의 그래프를 살펴보자.

점 A는 극댓값을 갖는 지점이고 점 B는 극솟값을 갖는 지점이다. 색칠한 부분은 해당하는 점의 ‘부근’을 대략적으로 표시한 것인데, 실제로 점 A 부근(근처)에서 점 A가 가장 큰 값을 가지고, 점 B 부근(근처)에서는 점 B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극댓값을 가지는 점을 극대점이라 하고 극솟값을 가지는 점을 극소점이라 하며 극대점과 극소점을 통틀어 극점이라 한다.

극값 본문 이미지 1

다항함수의 극값

일반적으로 이차함수는 포물선 그래프의 꼭짓점에서 극값을 갖는다. 아래 그림에서 C는 극솟값을 가리키는 극소점, D는 극댓값을 가리키는 극대점이다.

극값 본문 이미지 2

 

삼차함수의 그래프에서는 그래프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지점에서 극댓값을 가지고(점 E, H),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지점에서 극솟값을 가진다.(점 F, G)

극값 본문 이미지 3

그렇다고 삼차함수가 반드시 극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f(x)=x³과 같은 함수의 그래프를 보면 극댓값이나 극솟값을 가지는 지점을 찾을 수 없다.

극값 본문 이미지 4

미분계수와 극값

다항함수 또는 미분가능한 함수 f(x)에서 극값을 가지는 점들은 그 점에서의 미분계수가 0이다. 즉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a)=0이다. 미분계수가 0이라는 것은 그 점에서의 함수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가 0이라는 의미이다.

극댓값의 경우 극대점 부근에서 가장 큰 함숫값을 갖는데, 극댓점 왼쪽에서는 극댓점을 향해 함수가 증가하고 극댓점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며 극댓점을 지나 오른쪽으로 가면 함숫값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증가함수는 접선의 기울기가 0보다 크고 감소함수에서는 접선의 기울기가 0보다 작으므로 극대점을 기준으로 왼쪽에서는 미분계수가 0보다 작고(f'(x)<0) 오른쪽으로는 미분계수가 0보다 크게 된다.(f'(x)>0)

반대로 극솟값의 경우 극소점 부근에서 가장 작은 함숫값을 가지며, 극소점을 기준으로 왼쪽 부근에서는 함숫값이 감소하며 f'(x)<0이고 오른쪽 부근에서는 함숫값이 증가하며 f'(x)>0이 된다.

극값 본문 이미지 5

하지만 역으로 한 점 x=a에서의 미분계수 f'(a)=0이라고 해서 f(a)가 극값이라고는 장담할 수 없다. f(x)=x3과 같이 오로지 증가하기만 하는 함수도 잠시 증가가 주춤하는 구간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0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하는 점의 좌우 부근에서의 미분계수의 부호가 양수에서 음수로, 또는 음수에서 양수로 변해야 극점이라고 할 수 있다.

미분가능성과 극값

미분계수를 통해 극값을 판별할 수도 있고 미분가능한 함수는 극값을 가질 때의 미분계수를 쉽게 알 수도 있지만, 당연히 미분가능한 함수에서만 극값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함수는 뾰족한 점(첨점)인 점 A,B에서는 미분이 불가능한 함수이다. 그러나 점 A의 부근에서 함수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지므로 극솟값을 가지고 점 B의 부근에서는 함수가 가장 큰 값을 가지므로 극댓값을 가진다.

극값 본문 이미지 6

심지어 불연속함수여도 극값은 가질 수 있다. 다음과 같이 x=0에서 불연속인 함수 f(x)의 예를 살펴보자. 함수의 그래프가 x=0에서 잘려지듯 불연속을 이루고 함숫값도 함수 그래프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f(0) 부근에서 f(0)이 가장 큰 값을 갖는 점이므로 극댓값이다. 그러므로 함수의 미분가능성이나 연속성만으로는 극값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극값 본문 이미지 7

최대최소와 극값

그렇다면 최댓값과 극댓값, 최솟값과 극솟값은 어떻게 다를까? 최댓값·최솟값은 함수가 정의된 구간 전체에서 가장 크거나 가장 작은 값을 말하지만 극댓값·극솟값은 해당하는 점의 부근에서 가장 크거나 가장 작은 값을 의미한다.

-3≤x≤4에서 정의된 함수 g(x)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g(x)는 x=-3에서 최댓값 4를 가지고 x=4에서 최솟값 -1을 가지는 함수이다. 그리고 x=-1에서 극솟값 1을 가지고 x=2에서 극댓값 2를 가진다. 이것은 (최댓값)>(극댓값), (최솟값)<(극솟값)의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x=-3의 부근에서 g(-3)이 가장 큰 값을 가지므로 x=-3 역시 극댓점이고 x=4의 부근에서는 g(4)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지므로 x=4 역시 극솟점이라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최댓값)=(극댓값), (최솟값)=(극솟값)이 된다.

극값 본문 이미지 8

최댓값은 어떤 극댓값보다도 크거나 같고, 최솟값 또한 어떤 극솟값보다도 작거나 같게 된다.

또한 최댓값은 항상 최솟값보다 크지만 극댓값이 항상 극솟값보다 크다고 할 수는 없다. 극솟값이 극댓값보다 클 수도 있다. 다음과 같은 함수 h(x)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극댓값을 갖는 점 P에서의 함숫값보다 극솟값을 가지는 점 S, 점 U에서의 함숫값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극값 본문 이미지 9

참조항목

극대·극소, 함수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