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딕 미술

고딕 미술

[ Gothic Art ]

요약 로마네스크 양식 이후 12세기 중엽부터 르네상스 미술 이전까지 전개되었던 유럽의 중세 미술 양식이다. 높은 첨탑의 교회 건축과 스테인드 글라스, 자연적이고 사실적인 회화 표현, 복잡하고 세련된 문양 등이 등장하였다.
노트르담대성당

노트르담대성당

정의와 어원

로마네스크 미술 이후 12세기 중엽부터 15세기, 일부 지역에서는 16세기 초까지 전개되었던 유럽 중세 미술양식을 말한다. 프랑스 파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13세기 프랑스와 영국에서 확립되었다. 그 뒤 2세기 동안 서유럽 전역에 전파되어 이탈리아에서 형성된 르네상스 미술이 지배적 양식이 되기까지 지속되었다.

‘고딕(Gothic)’이란 명칭은 르네상스의 이탈리아인이 중세 건축을 거칠고 야만적인 고트족이 가지고 온 것이라고 비난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19세기 이래 서유럽 중세 미술의 한 양식을 가리키는 미술사 및 비평 용어로 등장하였다. 고트족은 고딕 양식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것이 이미 오래전 알려졌지만, 이 시기 교회 건축과 조각·회화·공예 등을 총체적으로 가리키는 용어로 정착하였다.

배경과 역사

당시 유럽은 도시국가와 봉건제 국가로 발전하였고, 이전 시기보다도 더욱 안정된 정치적·경제적 상황을 바탕으로 대학과 수도원이 발달하였다. 이는 플라톤적 사고와 그리스도교의 신학을 결합하고자 하는 새로운 휴머니즘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이 시기 휴머니즘은 인간을 신성한 신 아래 복잡한 위계 속에 두었고, 신은 이성을 초월하는 존재로 여겼다.

국가간 교역이 활발해지며 도시가 발달하였고, 그 중심에 세워진 교회는 도시의 부(富)를 상징하였다. 귀족 계층이 힘을 키우며 건축 및 미술의 주요 발주자가 되었으며, 교회당을 위한 조각이나 회화뿐 아니라 개인을 위한 작품도 활발히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로마네스크 미술의 경우 대부분의 작품이 수도사에 의해 제작되었다면 고딕 시기에는 개인이 건축, 조각, 회화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는 예술 분야의 기술 발전을 촉진하면서도 보다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토록 했으며, 실제로 이전 시기보다 작품이 사실적 경향으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건축가와 예술가의 이름은 모두 익명으로 남았으며, 후기에 들어서야 '장인(masters)'으로 여겨지며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한편 종교와 관련된 건축, 그리고 그에 따른 조각 및 회화는 생드니수도원의 수도원장 쉬제(Abbot Suger)의 주장에 기반한 것으로 시작하였다. 그는 빛에 신의 신성함이 담겨있다 믿었고, 교회 축조 시 이러한 생각을 실재적으로 구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의 믿음은 생드니수도원의 예배당과 성가대석의 건축 구조로 이어졌고, 이는 최초의 순수 고딕 건물로 여겨진다.

주요 특징

고딕 미술은 이전 로마네스크와 마찬가지로 교회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후기로 들어서며 점차 귀족 계층을 위한 개인적인 미술이 제작되었다.

건물 안에 더 많은 빛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교회당을 건축하고자 했고, 더 높이 올려 하늘에 가까이 닿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졌는데, 대표적인 특징은 리브 볼트(rib vault, 늑재 궁륭)와 뾰족한 첨두 아치, 플라잉 버트레스, 그리고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이다. 어둡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냈던 로마네스크의 교회 내부와는 달리 고딕 교회 내부는 더 높은 천정과 스테인드글라스의 효과로 밝고 천국과 같은 황홀한 분위기를 자아내도록 건축되었다.

고딕 시기 나타난 휴머니즘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조각과 회화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인물 표현으로 나타났다. 로마네스크 미술 속 인물들이 정면만을 향하고 상징적, 양식적으로 표현되었던 반면, 고딕 시기에는 인물을 자연스러운 포즈를 취하는 모습으로 묘사하였으며, 더 다양한 표정과 몸짓으로 표현해 인간의 감정이 드러나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곡선을 사용하여 인물들이 입고 있는 옷의 주름과 악세서리 등에 디테일을 더하였다.

고딕 건축과 예술은 이전 비잔틴 미술과 로마네스크 미술, 그리고 이슬람 미술의 요소를 절충적으로 취하였으며, 국가별, 지역별로 다양한 경향이 생겨났다. 또한 귀족 계층이 예술의 새로운 발주자이자 후원자로 부상하며, 이들을 위한 사본장식과 제단화, 미니아튀르 등이 더욱 발전하였다.

발전 양상 및 후대 영향

고딕 건축 양식은 16세기 르네상스 이후에도 일부 건축물에서 그 요소가 사용되었다. 회화의 경우 인간성과 종교성이 융합한, 실제적이고 입체감있는 작업을 전개하였던 지오토 디 본도네가 이후 마사초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등의 르네상스 화가 및 북유럽의 사본장식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낭만주의 시기 건축에서는 영국 등지에서 ‘네오고딕’이라고도 불리는 고딕리바이벌이 일어나 교회가 아닌 일반 건물에도 고딕 양식이 적용되었으며, 19세기 말 산업주의에 대항하여 중세 미술에서의 장인정신 등을 되찾고자 일어난 미술공예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고딕리바이벌 이후 현대에 들어서도 고딕적 요소는 건축 및 미술에서 지속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뾰족뾰족 첨탑과 스테인드글라스, 유럽 고딕 성당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