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솔린첨가제

가솔린첨가제

[ gasoline dopes , -添加制 ]

요약 가솔린의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하는 물질로, 앤티노크제, 산화방지제, 금속활성 저하제, 동결방지제, 녹 방지제, 조기발화(早期發火) 방지제, 기통(氣筒) 상부 윤활제, 착색제, 청정제 및 다기능 첨가제 등이 있다.

가솔린첨가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앤티노크제: 가솔린기관에 발생하는 노킹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약제이다. 이전에는 가솔린의 옥탄값을 높이는 데 사에틸납 Pb(C2H6)4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사메틸납 Pb(CH3)4이 사용된다.

② 산화방지제: 가솔린이 산화할 때 생기는 갬질을 방지하기 위해 페놀 유도체 또는 아미노페놀 유도체가 0.01~0.1% 첨가된다.

③ 금속활성 저하제: 금속, 특히 구리·황화구리 등은 극히 미량이라도 가솔린과 접촉하면 이를 현저하게 산화시키므로, 금속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N·N'-다이살리실리덴-2'-아미노프로페인 등이 첨가제로 사용된다.

④ 동결방지제: 고급 알코올을 2% 가량 첨가한다. 아닐롤이라는 아닐린-알코올 혼합액도 사용된다.

⑤ 녹 방지제: 설폰산암모늄 또는 유기인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⑥ 조기발화(早期發火) 방지제: 산화납이 생기거나 탄소가 침적(沈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발트 및 크로뮴의 나프텐산 비누 등이 첨가된다.

⑦ 기통(氣筒) 상부 윤활제: 경질(輕質) 가솔린18를 가솔린에 혼합하기도 한다.

⑧ 착색제: 가솔린의 종류와 옥탄값의 급수를 표시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자동차용 가솔린에는 붉은색, 비행기용 가솔린에는 푸른색·보라색 등의 색소가 사용된다. 또 분해 가솔린의 경우는 착색제가 햇빛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는 구실도 한다.

⑨ 청정제: 기화기의 스로틀밸브 주변에는 종종 다량의 침적물이 붙는다.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청정제로서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가 사용된다.

⑩ 다기능 첨가제: 한 종류의 약제로 여러 가지 기능을 다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는 기화기(氣化器) 빙결방지제·녹방지제·청정제로 널리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