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색제

착색제

[ stain , 着色劑 ]

요약 염료 또는 안료(顔料) 등을 사용하여 착색할 때의 염색제로 스테인이라고도 한다. 공업용 ·현미경용 ·생물용으로 구분된다. 염료 ·안료를 용해하는 종류에 따라 유성 착색제(오일스테인) ·알코올성 착색제 ·래커 착색제 ·수성 착색제 및 화학성 착색제의 5종류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유성 착색제는 내부용 또는 가구 목재 등의 재도장에 이용되거나, 건축에서는 판벽·창틀 등의 착색에 사용된다.

스테인이라고도 한다. 공업용 ·용 ·생물용이 있다. 공업용은 바탕에 직접 칠하여 눈먹임(wood filling)을 하고 목부(木部)에 미관을 주는 것으로서, 그대로는 퇴색하거나 소재의 보호가 불완전하므로 표면에는 니스 등의 투명도료를 칠하여 마무리한다. 착색제에는 염료 ·안료를 용해하는 종류에 따라 유성 착색제(오일스테인) ·성 착색제 ·래커 착색제 ·수성 착색제 및 산 ·알칼리 ·염류 등의 약품을 물에 녹인 염료 ·안료를 용해하는 화학성 착색제의 5종류가 있다.

유성 착색제(오일스테인)에는 침투형과 비침투형이 있다. 침투형은 수지 ·건성유 ·니스 등을 5~10 % 함유한 에 용제 속에 유용성 염료를 1~3 % 용해시킨 것으로 내부용 ·가구 목재 등의 재도장(再塗裝)에 이용된다. 비침투형은 같은 용제 속에 불용성안료를 분산시킨 것으로 견뢰도 ·착색은폐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건축에서는 판벽 ·창틀 ·마루 ·징두리판벽(wainscoting) 등에, 또 가구류 ·악기류 등의 목공품의 착색에 사용된다. 착색제의 주요성분은 착색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각각 결점이 있으므로 도장하는 목재의 종류나 표면상태에 따라 이에 맞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도장방법에는 솔칠 ·분무칠 ·침지(沈漬)칠 등이 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