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관사상

중관사상

다른 표기 언어 中觀思想

요약 중관학파는 용수(150경~250경)로부터 시작되었다. 용수는 불교의 핵심을 모든 존재는 타자와 관계를 맺으며 존재한다는 연기로 파악했으며 그렇기 때문에 ‘공’이라고 설파했다. '공한 존재는 고정불변한 실체가 없고, 모든 언어는 고정적인 대상을 가지므로 공한 세계는 언어적인 개념으로 표현할 수 없다. 다만 필요에 의해 그런 이름으로 부르고 있을 따름이다'라며 비판했다. 용수의 이러한 비판방식을 귀류법이라 하는데, 이는 어떤 이론의 전제조건을 이루는 논리를 그 논리의 힘으로 무너뜨려 해당 이론을 내부적으로 파괴하는 방법이다. 중관철학은 중국에서 삼론종의 성립을 가져왔다. 고구려 승려인 승랑의 학설을 이어받아 삼론종을 확립한 길장(549~623)은 중관철학의 성격을 '잘못된 것을 타파하여 올바른 것을 드러내는 것'으로 규정했다.

중관학파는 용수(龍樹 Nāgār-juna:150경~250경)로부터 시작되었다. 용수는 주저 〈중론송(中論頌) Mūlamadhyamakakārikā〉에서 석가모니의 연기론(緣起論)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연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존재를 공하다고 한다.

이것은 또한 가명이라고도 한다. 이것이 중도의 뜻이다"(衆因緣生法 我說卽是空 亦爲是假名 亦是中道義). 용수는 불교의 핵심을 연기로 파악했으며, 이 연기는 관계성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즉 연기는 모든 존재의 존재방식을 관계로 설명하는 것이다. 그것은 모든 존재가 타자와 관계를 맺으면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존재도 자성(自性)이 없으며, 이것이 용수가 말하는 (空 Sūnyatā)의 의미이다. 공한 존재는 고정불변한 실체(實體)가 없고, 모든 언어는 고정적인 대상을 가지므로 공한 세계는 언어적인 개념으로 표현할 수 없다. 다만 필요에 의해 그런 이름으로 부르고 있을 따름이다. 그러므로 가명이라고 한다. 이렇듯 실체를 전제하여 성립하는 모든 언어가 세계를 올바로 드러내지 못하는데도 모든 이론들은 이러한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때문에 용수는 이러한 이론들을 희론(戱論)이라 칭하며 비판했다. 용수가 다른 이론들을 비판하는 데 사용한 방법은 귀류법(歸謬法)이다. 이것은 어떤 이론의 전제조건들을 그대로 받아들여 논리를 전개시켜 나가다 보면 결국 모순되는 결론에 이를 수밖에 없음을 보여줌으로써 그 이론을 내부적으로 파괴하는 방법이다. 용수는 이처럼 자신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지 않고 무입장에서 다른 이론들의 내부모순을 끌어내는 방법을 사용했다. 용수 이후 중관파는 무입장의 입장을 내세워 다른 이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하는 귀류논증파(歸謬論證派)와 적극적으로 자기의 주장을 내세우는 자립논증파(自立論證派)로 나뉘었으며, 귀류논증파가 정통의 지위를 이어갔다. 중관철학은 중국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성립을 가져왔다. 고구려 승려인 승랑(僧朗)의 학설을 이어받아 삼론종을 확립한 길장(吉藏:549~623)은 중관철학의 성격을 '잘못된 것을 타파하여 올바른 것을 드러내는 것'(破邪顯正)으로 규정했으며, 이제합명중도(二諦合明中道)의 이론을 전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