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헤드린

산헤드린

다른 표기 언어 Sanhedrin

요약 의회'라는 뜻을 지닌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산헤드린은 여러 기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나, 특히 입법·사법의 최고기관이었던 예루살렘의 대산헤드린을 지칭하게 되었다. 하지만 산헤드린의 정확한 성격·구성·기능은 학문적 탐구와 논쟁의 주제로 남아 있다. 〈산헤드린〉이라는 소논문을 담고 있는 〈탈무드〉의 자료에 따르면, 대산헤드린은 71명의 현자들로 구성된 법정이었고 종교적 입법기관으로서 '법'은 이곳에서 나와 모든 이스라엘에 공표되었다. 정치적으로는 왕과 대제사장 임명, 전쟁선포, 예루살렘과 성전의 세력범위 확장 등을 명할 수 있었으며, 사법적으로는 대제사장, 거짓 예언자, 반역죄를 지은 원로, 잘못한 지파를 심판할 수 있었다. 대산헤드린은 66~70년 예루살렘에서 사라졌으나 후일 팔레스타인의 다른 지역에서 소집되었다.

산헤드린(Sanhedrin)
산헤드린(Sanhedrin)

정치·종교·사법 등의 기능을 수행한 공식기구였다.

'의회'(synedrion)라는 뜻을 지닌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산헤드린은 여러 기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나, 특히 입법·사법의 최고기관이었던 예루살렘의 대(大)산헤드린(또는 단순히 산헤드린이라고 불렀음)을 지칭하게 되었다. 또한 사법권과 권위가 약했던 지방 또는 지역 산헤드린도 있었다. 몇몇 학자들은 페르시아와 시리아의 지배기간(BC 333~165)에 존재했던 게루시아라고 하는 고대 의회 또는 장로회의가 대산헤드린의 전신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비록 뛰어난 자료들, 즉 헬레니즘적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의 저서와 〈신약성서〉·〈탈무드〉 등이 산헤드린에 관해 언급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단편적일 뿐 아니라 분명히 모순되는 것도 있으며 때로는 불명료하다.

그러므로 산헤드린의 정확한 성격·구성·기능은 학문적 탐구와 논쟁의 주제로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요세푸스의 저작과 복음서에는 산헤드린이 대제사장을 우두머리로 하는 정치적·사법적 의회로 나타나 있는 데 비해, 〈탈무드〉에는 비록 정치적·사법적 기능을 갖고는 있지만 주된 기능은 현자(賢者)를 우두머리로 하는 종교적 입법기관이라고 적혀 있다. 어떤 학자들은 첫번째 견해가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2번째 견해를 받아들인다. 하지만 또다른 학자들은 순전히 정치적인 의회와 입법을 관장하는 종교적 의회, 즉 2개의 산헤드린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몇몇 학자들은 산헤드린이 정치적·사회적·사법적 기능 전체를 통괄하는 하나의 기구라고 주장하면서 산헤드린의 통합된 기능을 분리해낼 수 없음을 강조한다.

〈산헤드린〉이라는 소논문을 담고 있는 〈탈무드〉의 자료에 따르면, 대산헤드린은 특정한 때 예루살렘 성전의 '리시카트 라 가지트'('깨어진 돌의 방'이라는 뜻)에서 모임을 갖던 71명의 현자들로 구성된 법정이었다. 나지와 아브 베트 딘이라고 하는 2명의 의원(zugot)이 이 모임의 의장이 되었다고 한다.

대산헤드린은 종교적 입법기관으로서 '법'(Halakha:유대교 율법의 총칭)은 이곳에서 나와 모든 이스라엘에 공표되었다. 정치적으로는 왕과 대제사장 임명, 전쟁선포, 예루살렘과 성전의 세력범위 확장 등을 명할 수 있었으며, 사법적으로는 대제사장, 거짓 예언자, 반역죄를 지은 원로, 잘못한 지파를 심판할 수 있었다. 종교적으로는 속죄일을 포함하여 일정한 의식을 감독했다. 또 대산헤드린은 그 아래 작은 지방 산헤드린을 감독했으며, 마지막으로 상소할 수 있는 최고법정의 역할도 담당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구체적인 설명들이 이상적인 것인지 아니면 사실적인 기록인지에 대해 학자들은 논쟁을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어떤 해석에 따르면 〈탈무드〉의 자료는 성전 파괴(AD 70) 이후 있었던 일들에만 국한시켜 적용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산헤드린의 구성에 관해서도 논쟁이 많은데, 논쟁은 2개의 주요당파였던 사두가이파바리사이파의 참여문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어떤 이는 산헤드린이 사두가이파 사람들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바리사이파로 구성되었다고 한다.

또다른 사람들은 두 집단이 서로 교체하거나 또는 혼합형태로 산헤드린을 구성했다고 주장한다. 〈마르코의 복음서〉·〈루가의 복음서〉는 예수에 대한 재판부분에서 대제사장·원로·율법학자 등으로 구성된 연합체를 '전체의회'(synedrion) 또는 '그들의 의회'라는 말로 지칭하고 있다. 또한 〈요한의 복음서〉에는 대제사장과 바리사이인들이 의회를 소집했다고 되어 있다.

복음서의 이러한 언급은 역사적·신학적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이었기 때문에 비판적 탐구와 의문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개진하고 있는 어느 이론도 학문적 일치를 얻지는 못했다. 예를 들어 산헤드린이 예수의 경우처럼 사형선고를 내릴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었는지는 아직까지도 확실하지 않다.

〈사도행전〉은 명백히 하나이면서 동시에 같은 '의회와 원로회' 앞에서 거행된 베드로와 요한의 재판을 묘사하면서 산헤드린의 구성집단인 사두가이파와 바리사이파의 분열을 드러내고 있다. 대산헤드린은 66~70년 로마에 대한 유대인들의 비극적인 반란이 일어난 뒤 예루살렘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산헤드린은 야브네에서, 그뒤에는 팔레스타인의 다른 지역에서 다시 소집되었다. 몇몇 학자들은 이것을 예루살렘의 의회법정(→ 예시바)이 지속된 것이라고 평가한다.

주도적인 학자들로 구성된 후기 산헤드린은 종교·입법·교육 등을 담당하는 팔레스타인 유대인의 최고기관이었다. 또한 정치적인 면도 갖고 있었는데, 최고 지도자인 나지가 로마인에 의해 유대인 정치 지도자(족장 혹은 지배자)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이 산헤드린은 425년 족장제도가 끝남에 따라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현대에 와서 산헤드린을 다시 구성하려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모두 실패로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