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다른 표기 언어 Avalokiteshvara , 觀世音菩薩 동의어 관자재보살, 觀自在菩薩, 관세자재보살, 觀世自在菩

요약 불교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보살. 중생을 위험으로부터 구제하는 보살로 ‘모든 곳을 살피는 분’이나 ‘세상의 주인’이라는 뜻을 가졌다. 아미타불의 현신으로 보는 이의 정신 수준에 따라 33가지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일반인에게 가장 친숙하며 널리 숭상된다. 모든 중생이 해탈할 때까지 자신은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세음보살의 공덕과 기적은 〈관음경>, 〈법화경〉 등 많은 불교 경전에 기록되어 있다.

목차

접기
  1. 개요
  2. 형상
  3. 관음신앙의 형성
  4. 한국의 관음신앙

개요

아미타불의 현신으로 대중에게 가장 친숙하게 알려진 보살. 팔리어경전을 신행(信行)의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대승불교의 보살 개념을 받아들이지 않는 상좌부(上座部)불교에서조차 숭배할 만큼 모든 불교권에서 가장 널리 숭앙받고 있다.세상의 모든 중생이 해탈할 때까지 성불하지 않겠다는 보살의 서원(誓願)을 가장 잘 보여준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형상

그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화신으로서 이 세상에 나타나며, 이 때문에 쓰고 있는 보관(寶冠)에는 아미타불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그는 석가모니불의 입적 이후부터 미래불인 미륵불이 나타날 때까지, 난파, 화재, 암살, 도둑, 사나운 짐승들에 의한 피해 등으로부터 세상을 지켜주며, 구제할 중생의 근기(根機:정신적 수준)에 맞추어 33가지의 몸으로 세상에 나타난다.

관세음보살은 무수하게 많은 모습으로 표현되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7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① 성관음(聖觀音):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한 손에 연꽃을 든 채, 서 있거나 앉아 있다.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머리가 열 하나, 팔이 둘, 또는 넷인 모습을 하고 있다.

천수관음(千手觀音):1,000개의 팔을 가진 모습을 하고 있다.

④ 준제관음(准提觀音):18개의 팔을 가지고 앉아 있는 가장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⑤ 불공견색관음(不空絹索觀音):올가미 밧줄을 독특한 상징으로 하고 있다.

마두관음(馬頭觀音):사나운 표정을 한 말의 머리를 하고 있다. 티베트에서 말의 수호자로 부르는 하야그리바에서 나왔다.

⑦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6개의 팔을 가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소원을 이루어주는 여의주를 들고 있다. 이 가운데 성관음이 본신(本身)이며, 나머지는 변화신(變化身)이다.

관음신앙의 형성

관세음보살의 공덕과 기적은 많은 불교경전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관음경(觀音經)〉은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꾸준히 읽히면서 관음신앙의 주요경전으로 자리 잡았으며, 3세기 이후에는 대중들 사이에 널리 보급되어 있던 〈법화경(法華經)〉에 편입되었다.

관세음보살을 신앙하는 관음신앙이 발생한 인도에서 이 신앙은 3~7세기 북부에서 가장 성하였다. 인도에서 서역(西域)을 거쳐 1세기 무렵 중국에 전해진 관음신앙은 6세기경에는 모든 불교사원에서 관음상을 모실 정도로 널리 퍼졌다.

송대(960~1126) 이전에 관세음보살은 분명하게 남성의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나, 이후에는 남성과 여성의 특성을 함께 갖춘 형태로 표현되었다. 그 이유는 관세음보살이 남성과 여성의 속성을 비롯한 모든 이원성(二元性)을 넘어서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었다.

아미타불을 숭배하는 정토교(淨土敎)에서는 관세음보살을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과 함께 아미타불의 협시보살(脇侍菩薩)로 설정하고 있으며, 관세음보살은 죽은 이들을 서방정토(西方淨土)로 인도하는 모습으로 곧잘 묘사했다. 이러한 신앙은 3~5세기 무렵에 한역된 정토계 경전들에 근거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관음상과 관음신앙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관음신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티베트에는 7세기 무렵에 전해졌으며, 곧 가장 인기있는 보살이 되었다. 티베트에서 관세음보살은 포탈라산에 살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관음상을 산꼭대기에 세우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역대 다라이 라마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받들어졌다.

관음신앙의 기원에 대해서는 현대에 들어 여러 학설이 나타났는데, 당시 동남아시아 지역의 언어와 신화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진 서양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관세음보살은 서기 3~7세기 사이에 남인도 지역의 신화나 티베트의 민속신앙의 대상이었던 지방신이 불교에 유입되어 형성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석가여래의 탄생 이전에 이미 있었던 전생 수행인으로 간주하며, 석가여랙 성불한 뒤에 자비와 연민으로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로 나타난 것으로 본다.

한국의 관음신앙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에서 전래된 관음신앙이 6세기 무렵에는 백제와 신라에서 뚜렷한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백제에서는 독존적(獨尊的)인 관음신앙이 유포되었으나, 말기에는 관음상이 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서 조성된 경우도 있다. 통일신라 초기의 관음신앙은 독존적인 관음신앙으로서 주로 현실적인 이익을 위한 현세적인 성격을 띠지만, 관세음보살이 서방정토에 왕생하는 것을 돕는다고도 보아 정토신앙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다가 나말여초(羅末麗初)의 혼란기를 거치면서 관음보살을 우위에 두는 신앙에서 벗어나 여러 구세신앙(救世信仰)의 하나로서 자리잡게 되었으며, 고려·조선을 거치면서 대중과 가장 친근한 신앙으로서 정착되었다.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에 전래된 관음신앙은 특정한 종파에 얽매이지 않고 일본 전역에 두루 퍼져나갔다. 호류 사에 있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관음상은 7세기에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