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과

참나무과

[ Fagaceae ]

전통적으로 Fagaceae를 참나무과로 불러오고 있지만, 참나무라는 특정 식물은 없고, 참나무는 참나무과 식물들 전체를 지칭하는 말이다. 과명은 하나의 속이 기준이 되어야 하고, 속은 하나의 종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Fagaceae를 너도밤나무과로 번역해 쓰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Fagaceae는 참나무과로 널리 통용되고 있다. 참나무과는 전 세계에 7속 730종 정도가 보고되어 있는데,1) 열매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각두(=깍정이; cupule)는 과를 대표하는 특징이다. 우리나라 온대지방의 산림을 대표하는 식물들이다.

목차

계통학적 위치와 과 내의 분류

DNA에 의한 최근 분자계통학적 연구1)2)3)에서 참나무목(위와 같은 이유에서 너도밤나무목으로 불리기도 한다; Fagales) 내에서 참나무과는 소귀나무과(Myricaceae), 가래나무과(Juglandaceae), 로이피틸리아과(Rhoipteleaceae), 카수아리나과(Casuarinaceae), 티코덴드론과(Ticodendraceae), 자작나무과(Betulaceae)가 이루는 분계조와 자매군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두 분계조의 밖에 노쏘파거스과(Nothofagaceae)가 위치한다.(그림 1) 과 내의 분류체계에서는 Fagus 한 속만이 속한 Fagoideae와 Quercus를 포함한 나머지 여섯 속이 속한 Quercoideae의 두 아과를 인식하고 있다.1)

그림 1. DNA 자료를 통한 꽃식물 계통수 상의 참나무과의 위치. (출처:김상태)

형태적 특징

참나무목 식물은 모두 꽃덮개조각(화피편)이 축소되었거나 없는 단성화, 한 개의 종자가 들어 있는 열리지 않는 열매를 갖는 특징을 공유하는데, 이들 중 참나무과는 상록성 또는 낙엽관목으로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는 우상엽을 갖고, 턱잎은 빨리 떨어진다. 은 하나의 나무에 암꽃수꽃이 따로 있거나 양성화가 섞여 있는 잡성주인 경우도 있다. 은 방사상칭의 단성화이고, 암꽃수꽃이 같은 꽃차례 또는 다른 꽃차례에 달린다. 수꽃은 포와 융합한다. 암꽃은 보통 1~3개가 모여 달리고, 꽃덮개조각(화피편)은 보통 6장으로 매우 작다. 씨방은 하위이고, 열매는 견과(nut) 이다. 열매의 전체 또는 일부가 비늘상의 각두로 둘러싸여 있다. 각두의 모습은 속을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이 된다.

우리나라의 참나무과 식물

국립수목원에서 발간된 국가표준식물목록4)에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참나무과 식물은 38 분류군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중 우리나라 고유식물들은 개붉가시나무(Quercus acuta f. subserra), 청떡갈(Q. dentata f. fallax), 넓은참가시나무(Q. salicina f. latifolia)다. 참나무속 식물들은 우리나라 참나무과 식물들의 대부분(31분류군)을 차지하는데, 이들 중 다수는 종간 잡종이 보고된 경우이다. 너도밤나무속(Fagus)는 북반구의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울릉도에 너도밤나무(Fagus engleriana) 만이 자생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낙엽성의 참나무속(Quercus) 식물들은 여섯 종의 원종들과 이들 간에 형성된 잡종들이다. 이들 여섯 종들은 떡갈나무(Q. dentata), 신갈나무(Q. mongolica), 갈참나무(Q. aliena), 졸참나무(Q. serrata), 굴참나무(Q. variabilis), 상수리나무(Q. acutissima)인데, 이들은 잎자루의 유무, 잎 뒷면의 색, 각두의 형질로서 구분된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인 참나무과 식물은 개사시나무(Quercus gilva)가 있다.5)

그림 2. 참나무과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낙엽성 참나무속 식물들. A.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B. 갈참나무(Q. aliena). C. 떡갈나무(Q. dentata). D. 신갈나무(Q. mongolica). E. 졸참나무(Q. serrata). F. 굴참나무(Q. variabilis). (출처:김상태)

경제적 이용

밤나무속(Castanea) 식물들의 열매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참나무속 식물들도 묵을 만들어 식용으로 사용한다. 이 외에도 코르크의 재료로, 관상수로, 그리고 목재로 이용된다.6)

참고문헌

1. Stevens PF (2001)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14, July 2017.
2. Soltis PS, Soltis DE, Chase MW (1999) Angiosperm phylogeny inferred from multiple genes as a research tool for comparative biology. Nature, 402: 402-404
3. Zeng L, Zhang Q, Sun R 등 (2014) Resolution of deep angiosperm phylogeny using conserved nuclear genes and estimates of early divergence times. Nature Comm, 5: 4956
4.
5.
6. Judd WS, Campbell CS, Kellogg EA 등 (2016)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Fourth ed.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