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스민

지오스민

[ Geosmin ]

지오스민은 종속영양세균군인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속 등의 방선균류와 광합성 세균군인 남세균류 등 원핵생물 뿐만 아니라 Penicillium을 비롯한 사상성 균류 등 진핵생물에서도 생산되는 흙냄새를 내는 화합물이다1). 지오스민은 미생물이 2차대사 결과 생산하는 산물 중 하나이며 그리스어로 흙과 토양을 의미하는 γεω-(=earth) 와 냄새를 의미하는 ὀσμή(=smell) 으로부터 유래하였다2).

목차

지오스민의 구조

지오스민의 화학식은 C12H22O이고 구조는 그림과 같다.

그림 1. 지오스민의 구조 (출처 :김승범/충남대)

특징 및 생산 미생물

지오스민은 토양 및 담수의 흙냄새 및 담수어류의 흙냄새를 내는 원인물질이다. 화학적으로는 지질인 이소터피노이드(isoterpenoid)의 한 종류로서 트랜스1.10-디메틸-트랜스-9-데칼롤(trans-1,10-dimethyl-trans-9-decalol)이라고도 한다. 분자량은 182.31, 끓는점은 270°C 정도로 알려져 있다3). 지오스민은 토양 뿐만 아니라 담수 환경, 농작물 및 가공품, 음료 및 주류, 담수 생선류 등에서 발견되며 육상 환경의 경우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속으로부터 생산되고 있고, 수환경에서는 주로 남세균에 의해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한편 원생생물에 속하는 Vanella 속의 아메바 종류도 지오스민을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실제로 아메바 내부에 공생하는 세균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4). 지오스민은 휘발성이 강해 100℃의 물에서 끓이면 제거되며, 또한 산성환경에서 분해된다.

표 1. 지오스민 생산 미생물
생물군 주요 속
원핵생물 Streptomyces 등 방선균
Nostoc, Coelosphaerium 등 남세균
진균 Penicillium 등 사상성 진균

지오스민과 인간 및 환경

사람은 지오스민의 냄새에 민감하며 숲 속의 토양이 발산하는 특유의 흙냄새는 정서적인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실제로 사람의 코는 6-10ng/L(ppt) 정도의 농도로 존재하는 지오스민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하지만 담수환경의 지오스민은 남세균 등에 의한 조류 대발생이 일어나는 경우 좋지 않은 냄새를 발산할 수 있으며 음용수나 포도, 버섯, 당근 등 신선 과채류나 가공 식품류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도 좋지 않은 냄새를 발산할 수 있어 관련 산업에 경제적 손실을 끼칠 수 있다. 상수원에서 녹조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지오스민은 진균류에 의해 생산되는 2-MIB(2-methylsoborneol)과 함께 수돗물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들 물질은 인체에 직접 유해하지는 않지만 악취의 근원이 되며 미량이라고 하더라도 입 안에서 그 맛이 지속적으로 남아 있으므로 환경부에서는 이에 대한 감시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환경부에서 정한 먹는물의 지오스민 감시 기준은 20ng/L(ppt)이며, 서울시에서 정한 수돗물의 수질기준에서 지오스민 권고기준치는 8ng/L로 설정되어 있다6). 지오스민과 2-MIB는 휘발성이 있으므로 가열하면 물에서 제거할 수 있다.

지오스민은 상한 포도의 이취(off-flavor)에 주된 기여를 하는 물질이며 이 경우 Penicillium이 주된 생산자로 관여하나, Penicillium은 상하지 않은 포도즙으로부터는 지오스민을 생산하지 못하는 반면 다른 균류인 Botrytis cinerea가 같이 생장하는 경우 지오스민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는 Penicillium이 생장에 필요로 하는 아미노산 등의 질소원을 B. cinerea가 공급해 주는 등의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집필

김승범/충남대학교

감수

조장천/인하대학교

참고문헌

1. Goodfellow, M. et al. (eds). 2012.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5. 2nd edition. Springer.
2. Geosmin, an earthy-smelling substance isolated from actinomycetes NN Gerber, HA Lechevalier - Applied microbiology, 1965 - Am Soc Microbiol
3. Liato, V., Aider, M. 2017. Geosmin as a source of the earthy-musty smell in fruits, vegetables and water: origins, impact on foods and water, and review of the removing techniques. Chemosphere. 181: 9-18.
4. Hayes, S.J., Hayes, K.P., Robinson, B.S. 1991. Geosmin as an odorous metabolite in cultures of a free-living amoeba, vannella species (Gymnamoebia, Vannellidae). J. Protozool. 38: 44-47.
5. Omur-Ozbek, P., Little, J., Dietrich, A. 2007. Ability of humans to smell geosmin, 2-MIB and nonadienal in indoor air when using contaminated drinking water. Water Sci. Technol. 55: 249-256.
6. 서울시. 2012. 건강하고 맛있는 물.
7. La Guerche, S. et al. 2007. Impact of the Botrytis cinerea strain and metabolism on (-)-geosmin production by Penicillium expansum in grape juice. Antonie Leeuwenhoek 92(3):331-41.

동의어

Geosmin, 지오스민, geos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