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전위

활동전위

[ action potential , 活動電位 ]

근육 · 신경 등 흥분성 세포의 흥분 시에 흥분부위가 정지부위에 대하여 음(-)이 되는 일과성 전위 변화. 미모사풀, 끈끈이주걱, 차축조식물 등 일부 식물에서도 볼 수 있다. 특히 신경의 축삭을 전도하는 신호로서의 활동전위를 임펄스라고 한다. 활동전위에 동반하여 활동전류가 생긴다. 신경 또는 근섬유의 무상인 2점에서 이끌어내면 흥분이 지속되어 2점을 통과할 때 전위차의 방향이 역전되므로 2상성 활동전위를, 또는 무상인 점과 섬유단 끝에서 이끌어내면 뒤의 점에서는 흥분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단상성 활동전위를 얻을 수 있다(그림 a).

활동전위가 급격한 부분을 스파이크전위라고 하며, 보통 그 후에 상당히 길게 꼬리를 끄는 부위인 후전위와 구별된다. 활동전위의 경과가 빠른 포유류운동신경섬유(A섬유)에서는 스파이크전위는 1msec 이내에 끝나지만 근섬유에서는 보통 수msec를 초과한다. 후전위는 스파이크전위와 같은 방향이면 음성, 반대방향이면 양성이라고 한다. 흥분시 및 흥분 후의 신경흥분성 변화(절대불응기, 상대불응기, 과상기, 차상기)와 활동전위의 시상(時相) 사이에는 일정한 대응이 있다.

세포내 전극에서 측정한 전위(막전위)는 정지 시에는 외액에 대하여 음(-)이지만 흥분 시에는 역전한다(그림 b). 흥분이 신경섬유를 전도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경섬유 내외의 전위분포 및 그 결과 흐르는 전류(활동전류)는 그림 c와 같고 외부전극에서는 그림 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위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흥분시 막전위의 변화는 이온채널의 개폐에 따른 막의 이온투과성 변화에 의해 설명된다.

활동전위

(a) 검은색부분은 손상부위, 사선부분은 흥분부위

(a) 검은색부분은 손상부위, 사선부분은 흥분부위

(b) 물오징어 거대신경섬유의 정지전위 및 활동전위

(b) 물오징어 거대신경섬유의 정지전위 및 활동전위

(c) 신경섬유 내외의 전위분포와 활동전류

(c) 신경섬유 내외의 전위분포와 활동전류

관련이미지

흥분시의 전위 변화

흥분시의 전위 변화 출처: Basic 고교생을 위한 생물 용어사전

동의어

활동전압(活動電壓, action pot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