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싯바늘

낚싯바늘

[ 釣針 ]

낚시는 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일종으로, 유럽에서는 후기 구석기시대부터,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출토된다. 한국의 낚시는 형태에 따라 결합식낚시(結合式釣針, two-piece hook)와 단식낚시(單式釣針, one-piece hook)로 대별된다. 결합식낚시의 재질은 돌로 만든 축(軸)부분에 사슴뿔, 멧돼지의 이빨, 짐승의 뼈 등을 바늘로 쓴 경우가 많다. 단식낚시의 재질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는 사슴뿔, 멧돼지의 송곳니 등이 사용되었으며 철기시대에는 쇠로 만들었다. 청동기시대에 청동제의 낚시가 출토된 적은 없었으나 영암에서 출토된 거푸집(鎔范)을 보면 낚싯바늘의 틀이 새겨져있어 청동제 낚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합식낚싯바늘(結合式釣針), 양양 오산리 유적 출토

결합식낚싯바늘(結合式釣針), 양양 오산리 유적 출토

결합식낚시(結合式釣針, two-piece hook)는 면결합을 하는 오산리형, 연대도형, 송도형과 축의 일부와 바늘의 일부가 겹쳐서 결합하는 상노대도형으로 대별된다. 오산리형의 북한계는 동해안에서는 함북 송형동이고, 서해안에서는 전북 노래섬 조개더미이며, 집중 분포지는 남해안지방이다.

남해안지방에서는 신석기 전기-중기 동안의 동삼동 조개더미, 후기의 구평리·농소리 조개더미에서 출토되어 신석기 전기간에 걸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면결합에 있어서는 송도형이 전기에 나타난다. 중기가 되면 축과 바늘을 일부 겹쳐서 결합하는 상노대도형이 나타나고, 면결합을 하는 연대도형은 상노대도형의 재질에 오산리형의 형태로 변화되어 나타난다.

철재낚싯바늘(鐵製釣針), 생곡동 가달고분군 출토

철재낚싯바늘(鐵製釣針), 생곡동 가달고분군 출토

단식낚시(單式釣針, one-piece hook)는 재질에 따라서 골각제품, 청동제품, 철제품으로 구분되고, 골각제품은 낚시의 형태에 따라 세분된다. 골각제의 단식낚시는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함북 나진만 주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타지역에서는 산발적으로 분포하며 크기는 다양하다. 청동제 낚시는 아직 발견된 예가 없지만 영암에서 출토된 거푸집의 존재로 미루어 장래에 출토가 기대된다. 철제 낚시는 철기시대부터 현재에까지 이르고, 지리적으로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이 가운데 경상남도 부산이 그 중심지이다. 이때부터 부장품으로 무덤에 매납된다.

한국에서 출토되는 원시, 고대 낚시업의 발전단계를 결합식조침(오산리형) - 결합식조침, 골각제 단식조침 - 결합식조침(오산리형) - 단식조침, 청동제 조침 - 철제 초대형조침 - 철제 대형조침 - 철제 중형조침 - 철제 소형조침으로 모식화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의 결합식낚시, 골각제 단식낚시는 동해안과 서·남해안지방의 해안부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청동기시대에는 결합식낚시가 소멸되고 골각제 단식낚시가 서해안까지 분포 확대된다. 철기사용이 일반화되는 원삼국시대 낚시는 철제화되어 초대형낚시가 내륙과 남해안지방에 나타난다. 그리고 삼국시대에는 소형화된 낚시가 전국적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 한반도의 원시·고대어업(김건수, 한국상고사학보 11, 한국상고사학회, 1995년)
  • 신석기시대 어구의 형식분류와 편년연구(장명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