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

키보드

[ key board ]

요약 컴퓨터 입력장치의 하나로 타자기와 비슷하게 생긴 글자판.
키보드

키보드

자판·글자판·글쇠판이라고도 한다. 타자기처럼 생긴 입력장치로 한글,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비문자)와 12개의 기능키로 이루어져 있다.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영상표시장치(모니터)와 한 조를 이루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고 편집, 변형할 수 있다.  

키보드의 작동 원리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법에 따라 전자식과 기계식으로 나뉜다. 전자식은 키를 누름에 따라 키 밑에 연결된 회로가 전하의 양을 측정하여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기계식은 키를 누름에 따라 키 밑에 있는 두 개의 금속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전류의 흐름 여부로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키보드에서 파악된 키의 위치는 바이오스를 통해 키보드 스캔코드로 변환되고, 버퍼에 기록된 다음 시스템으로 보내져 처리된다.

초기에는 키보드의 글자판이 83개, 84개였으나 기능이 확장되면서 101개, 103개, 106개로 점점 늘어났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키보드는 대부분 106개의 글자판이 있는 윈도용이다. 키보드는 자판이 배열된 형태에 따라 한글 2벌식과 한글 3벌식, 영문 쿼티(qwerty)와 영문 드보락 자판으로 구분된다.

한글 2벌식은 공업진흥청에서 정보처리용으로 지정한 자판 배열로 자음 한벌(19자, 쌍자음 5자 포함)과 모음 한벌(14자) 총 33자로 구성되었다. 3벌식에 비해 글자수가 적어 쉽게 익힐 수 있다.

한글 3벌식은 자음 한벌(14자, 쌍자음 연타 처리), 모음 한벌(17자, ㅢ와 받침에 붙는 ㅗ, ㅜ 추가), 받침 한벌(21자) 총 52자로 구성되었다. 2벌식에 비해 입력 속도가 빠르지만 글자판을 익히는 데 시간이 걸린다.

영문 쿼티는 미국의 표준 자판으로 숫자 키 아래에 있는 첫번째 줄의 영문자가 자판 왼쪽부터 Q, W, E, R, T, Y 순서로 되어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영문 드보락은 미국표준협회(ANSI)가 제2표준으로 채택한 자판으로,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키를 키보드의 중앙에 배열하였다.

키보드에는 문자 키 이외에 컨트롤(Ctrl), 알트(Alt), 시프트(Shift), 엔터(Enter), 탭(Tab) 등 다양한 비문자 키가 있다. 이들 비문자 키는 키의 본래 의미를 변경시키거나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할 때, 모니터 상에서 텍스트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관련이미지

키보드

키보드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