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

모음

[ vowel , 母音 ]

요약 발음할 때 성대를 진동시키고 나온 호기(呼氣)가 조음기관에 의하여 폐쇄 ·마찰 등의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음(音).

홀소리라고도 한다. 자음이 조음기관의 어느 일정한 위치에서 장애를 받음으로써 특정한 음색(音色)을 지니는 것에 비하여, 모음은 구강(口腔:空鳴腔)의 모양에 따라 특정한 음색이 결정된다. 자음에 대립되며, 유성음(有聲音)이다.

모음의 분류

모음은 조음위치(調音位置)·개구도(開口度:입을 벌린 각도) 및 입술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조음위치에 따라 ① 전설모음(前舌母音):전설면과 경구개(硬口蓋) 사이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 기본모음 [i] [e] [ε] [a] 및 평순모음(平脣母音) [i] [e] [ε]가 원순(圓脣)으로 조음되는 [y] [ø] [œ] 등이다. ② 후설모음(後舌母音):후설면과 연구개(軟口蓋) 사이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 [u] [o] [ɔ] [ɑ] 등이다. ③ 중설모음(中舌母音):중설면과 구개 중앙부와의 사이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 [i] [ə] 등이다.

(2) 개구도에 따라 ① 개모음(開母音:低母音):조음될 때 호기의 구강통로가 가장 큰 모음으로, [a] [ɑ] 등이다. ② 폐모음(閉母音:高母音):조음될 때 호기의 구강 통로가 가장 작은 모음으로, [i] [ə] [u] 등이다. 그 밖에 개모음과 폐모음 사이를 3등분하여 반개모음(半開母音:[ε] [<ɔ>]), 반폐모음(半閉母音:[e] [o])을 설정하기도 한다.

(3) 입술의 모양에 따라 ① 원순모음(圓脣母音):입술을 둥글게 하여 조음하는 모음으로, [u] [o] [y] [ø] [œ] 등이다. ② 평순모음(平脣母音:非圓脣母音):입술을 둥글게 하지 않고 조음하는 모음으로, [i] [e] [ε] [a] [ɑ] [ɨ] 등이다. 그 밖에 비강의 공명을 수반하느냐 않느냐에 따라 비모음(鼻母音:[ã] [ɛ̃] [ɔ̃])과 구강모음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모든 모음은 위의 기준에 따라 분류되는데, 학문적인 모음의 명칭은 '원순·비원순, 전설·후설, 고·저'의 순서에 따른다. 예를 들면 [i] 모음은 '비원순 전설 고모음', [ɔ] 모음은 '원순 후설 저모음'이라고 말하는 따위이다.

모음 본문 이미지 1

기본 모음

D.존스가 제정한 것으로, 8개의 기본모음 설정의 원리는 그 중 어느 하나도 다른모음과의 식별이 불가능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기본모음이란 인간이 소리낼 수 있는 극단의 모음으로 정의하여, 극단의 전설 고모음을 [i]로 정하였으며, 극단의 후설 저모음을 [ɑ]로 정하고, 이를 각각 1번과 5번으로 하여, 1과 5 사이에 청각적인 등거리를 유지하면서 세 개의 모음을 넣고, 마찬가지로 소리 간에 같은 청각거리를 유지하면서 6, 7, 8을 정하되 입술을 둥글게 한다. 이렇게 하여 정해진 8모음을 기본모음이라 하며, 국제음성부호로는 [i][e][ε][a][ɑ][ɔ][o][u]로 표기한다.
위의 모음에 대해서 각각 그 원순성을 반대로 한 모음을 상정할 수 있는데, 이것을 제2차 기본모음이라고 하며, 국제음성부호로는 각각 [y][ø][œ][Æ][ɐ][∧][γ][Щ]로 표기한다. 이렇게 기본모음이 정해지면 모든 언어의 모음은 이 모음을 기준으로 하여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의 [i] 소리는 기본모음 1번과 거의 유사한 소리이며, 국어의 [아] 소리는 기본모음의 4번과 5번 사이의 약간 높은 위치에서 나는 소리로 규정할 수 있다. 기본모음을 기준으로 하여 그린 사다리꼴을 ‘모음사각도’라 한다. 이 소리는 극단의 모음을 표시하므로 모든 언어의 모음은 이 사각도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모음 본문 이미지 2


국어의 모음

〈음운〉 중세국어(15세기 국어)의 단모음은 '· ㅡ ㅣ, ㅗ ㅏ ㅜ ㅓ'의 7개였는데, 그 중 '·'가 없어지고, 원래 복모음이었던 'ㅐ ㅔ ㅚ ㅟ'가 단모음으로 바뀌어, 현대국어의 단모음은 'ㅣ (ㅟ) ㅔ ㅐ ㅚ ㅡ ㅓ ㅏ ㅜ ㅗ'의 10개이다. 그런데, 'ㅟ'는 '쥐·쉬· 뉘'를 짧게 발음하면 단모음으로 발음되지만, '위'를 길게 발음하면 복모음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복모음으로 다루기도 한다.
〈분류〉 분류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1) 음색·어감의 성질에 따라 ① 양성모음(陽性母音:强母音):비교적 입을 크게 벌려서 내는 소리로 밝고 가볍고 맑고 빠르고 작은 느낌을 주는 모음인데, 'ㅏ ㅑ ㅗ ㅛ ㅘ ㅐ' 등이다. ② 음성모음(陰性母音:弱母音):양성모음과 상대적으로 어둡고 무겁고 칙칙하고 느리고 큰 느낌을 주는 모음인데, 'ㅓ ㅕ ㅜ ㅠ ㅝ ㅞ ㅟ ㅔ ㅣ' 등이다. ③ 중성모음(中性母音:中性音): 모음 조화가 있는 언어에서 어떤 모음과도 잘 어울리는 모음으로 ‘ㅣ’ 등이다.

(2) 소리의 성질에 따라 ① 단모음:발음할 때 처음과 끝이 일정하게 소리나는 모음을 단모음이라 하는데,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등이다. ② 이중모음:발음할 때 처음과 끝이 달라지는 모음을 말하는데,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등이다.

(3) 조음위치·개구도 및 입술모양 등에 따라 전설모음·후설모음·개모음·폐모음 등으로 분류된다.

〈차례〉 현대국어의 모음배열은 다음의 3단계를 거쳐서 오늘에 이르렀다. ① 훈민정음(訓民正音, 1446):'·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11자)' ② 훈몽자회(訓蒙字會, 1527):'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11자)' ③ 한글맞춤법통일안(1933):'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10자)'. 그런데 오늘날 쓰고 있는 모음 전체의 차례는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이다.  

참조항목

유성음, 음성학, 자음

역참조항목

강모음, 모음충돌, 순음, ,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