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백리

청백리

[ 淸白吏 ]

요약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淸廉)·근검(勤儉)·도덕(道德)·경효(敬孝)·인의(仁義) 등의 덕목을 겸비한 조선시대의 이상적(理想的)인 관료상으로, 의정부(議政府)에서 뽑은 관직자에게 주어진 호칭이다. 총 217명이 배출되었다. 대표적 인물로는 맹사성·황희·최만리· 이현보·이언적·이황·이원익·김장생·이항복 등이 있다. 후손들도 그 혜택을 받았다.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근검·도덕·경효·인의 등의 덕목을 겸비한 이상적인 관료상이다. 고려시대부터 청백리제도가 존재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최영 등 소수 관료들에서 청백함이 칭송되고 있고, 자식들에게 청백한 관리가 되어 가문의 전통을 이으라고 당부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제도적으로 청백리제도를 운영하였다.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의 2품 이상 당상관사헌부(司憲府)·사간원(司諫院)의 수장이 천거하고 임금의 재가를 얻어서 의정부에서 뽑았다. 조선 초·중기에는 생존자 가운데서 선발하여 염리(廉吏)로 대우하였고, 후기에는 염리로 녹선(錄選)되었다가 사망한 자나 사망한 자 가운데서 염명이 높았던 관리를 청백리(淸白吏)로 녹선하여 우대하였다. 사림(士林)이 득세하던 시기에는 청백리 사상이 강화되어 많은 사람이 녹선되었으나, 후기에는 그 인원이 격감되었다. 청백리가 되면 후손들에게 선조의 음덕을 입어 벼슬길에 나갈 수 있는 특전도 주어졌다.

1695년(숙종 21)에 영의정 남구만(南九萬)이 청백리를 뽑으면서 살아 있는 경우에는 '염근리(廉勤吏)', 죽은 후에는 '청백리'라고 호칭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정확히는 명종 대부터 살아 있는 자는 염근리라는 명칭을 붙여 선발했고, 특별한 과오가 없는 한 사후에는 청백리로 녹선(錄選)하였다.

청백리는 총 217명이 배출되었는데, 맹사성·황희·최만리·이현보·이언적·이황·이원익·김장생·이항복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대동장고(大東掌攷)》 《청선고(淸選考)》 《전고대방(典故大方)》 등에 청백리에 관한 자료가 전한다.

오늘날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청백리제도를 두고 운영하고 있다. 1981년 청백리상 제도를 제정하여, 국가에 대한 충성과 청렴, 정직한 공직자상을 권장하고 있다. 대상은 현직자, 퇴직자, 직급에 관계없으며, 공무원이나 국영기업체, 정부투자기관 등 공무원 신분에 준하는 자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