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영은사 칠성탱화

공주 영은사 칠성탱화

[ 公州 靈隱寺 七聖幀畵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영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佛畵). 2001년 6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공주 영은사 칠성탱화

공주 영은사 칠성탱화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1년 6월 30일
소장 영은사
관리단체 영은사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1-3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크기 가로 141㎝, 세로 142㎝

2001년 6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영은사는 공주시 금성동 쌍수산(雙樹山) 공산성(公山城)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이 탱화는 공주 공산성 내 영은사 원통전 뒷벽 왼쪽에 있는데 가로 141㎝, 세로 142㎝로 정사각형에 가까운 크기의 패널 형태이다. 조선시대인 1888년(고종 25) 무렵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불화는 민간 전래의 칠성신앙을 흡수하여 나타난 칠성탱화로, 얼굴은 살지고 긴데 눈·코·입은 작게 표현되어 있다. 그림은 적색과 녹색을 위주로 청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중앙의 치성광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한 일광보살(日光菩薩)·월광보살(月光菩薩)은 해와 달을 두 손으로 받들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였으며, 왕의 모습을 한 칠원성군(七元星君), 녹색머리 광배를 한 부처 모습의 칠성(七星)과 동자·동녀 등이 빙둘러 있다.

참조항목

공주시, 불화, 탱화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