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종선 가옥

송종선 가옥

[ 宋宗善 家屋 ]

요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에 있는 초가. 1978년 11월 14일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송종선가옥

송종선가옥

지정종목 시도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78년 11월 14일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로 149-6 (하천리)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1978년 11월 14일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제주도 민가(民家)의 일반적 형태인 초가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연환경과 제주도민의 가족 구성, 생활양식을 반영한 건축물이다. 주위 지형보다 낮은 곳에 돌담을 두르고 건물을 따로 배치하였다.

초가는 크기에 따라 2칸집, 3칸집, 4칸집으로 구분되며 울타리 안에 배치된 집의 수에 따라 외거리집·두거리집·네거리집 등으로 부른다. 부속시설로는 외양간(쇠막), 변소(통시), 장독대(장항굽), 짚가리(눌왓) 등이 있다.

이 가옥은 2고주 7량집으로 초가이며 벽은 검은 돌로 쌓았다. 제주 지방은 바람이 많아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띠를 바둑판처럼 얽어 놓았는데, 이 가옥의 지붕은 선이 완만하고 매끈한 유선형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연환경과 생활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동영상

송종선 가옥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에 있는 초가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제주도민의 가족 구성, 생활양식을 반영한 건축물이다. 주위 지형보다 낮은 곳에 돌담을 두르고 건물을 따로 배치하였다. 2고주 7량집으로 초가이며 벽은 검은 돌로 쌓았다.  지붕은 선이 완만하고 매끈한 유선형으로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생활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