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 후율당

옥천 후율당

[ 沃川 後栗堂 ]

요약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도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옥천 후율당

옥천 후율당

지정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지정일 1976년 12월 21일
관리단체 배천조씨종중
소재지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도이길 42 (도이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의병장인 조헌(趙憲:1544~1592)이 보은현감(報恩縣監)을 사임하고 옥천(沃川)에 낙향하여 살 때인 1588년(선조 21)에 지은 것이다. 스승인 이이(李珥)를 경모하여 그의 뒤를 잇는다는 뜻으로 자기 호를 이이의 호인 율곡(栗谷)에서 율자를 따서 후율(後栗)이라고 지었다. 그리고 용촌 밤티〔栗峙〕에 당(堂)을 짓고 당의 이름을 후율당(後栗堂)이라고 하였다.

조헌은 본관은 배천(白川),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 도원(陶原) 또는 후율(後栗)이며,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에게서 배웠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후율당에서 의병을 일으켜 1,700여 명을 규합하여 영규대사(靈圭大師)의 승병(僧兵)과 함께 청주를 수복하는 공을 세웠다. 그러나 그후 금산싸움에서 700명의 의병과 함께 순국하였다.

후율당도 임진왜란 후 퇴락(頹落)되어 가던 것을 1854년(철종 5) 후손들이 옥천군 백양동에 이건(移建)하였다, 1864년(고종 1) 현 위치로 옮겼으며, 1977년 중건(重建)하였다.

당 내에는 1621년(광해군 13)에 판간한 항의신편(抗義新篇) 판목(板木) 125장와 유림시판(儒林詩板) 10장, 선조가 내렸다는 조서(詔書) 1장이 보존되어 있다. 또한, 경내(境內)에는 금산(錦山)에서 그를 대신하여 죽으려 했던 아들 완기(完基)의 효자각(孝子閣)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옥천 후율당 옥천군의 조선 중기 문신 조헌을 기리는 사당 충청북도 기념물 제13호 충북 옥천군 안내면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조헌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1588년 관직을 사임하고 낙향하여 지은 건물로 생전에는 이곳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 조헌 선생은 율곡 이이의 제자로 스승을 경모하여 그의 뒤를 잇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호를 율곡의 율자를 따서 후율이라 지었으며 당의 이름도 후율당으로 하였다고 전해진다. 건물은 정면3칸, 측면1칸의 팔작지붕집으로 솟을대문과 돌로 쌓은 담장이 둘러져 있으며 후율당 안에는 항의신편 판목, 유림시판, 선조가 내렸다는 조서가 보관되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