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공세곶고지

아산 공세곶고지

[ 牙山 貢稅串庫址 ]

요약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있는 조창(漕倉) 터. 1979년 7월 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아산 공세곶고지

아산 공세곶고지

지정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지정일 1979년 7월 3일
관리단체 아산시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193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 농업 / 저장가공시설
크기 면적 15,636㎡

1979년 7월 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조창(漕倉)은 조세미를 모아 보관하고 수송하기 위하여 수로가에 설치한 창고이다. 이곳에 조창이 들어선 것은 1478년(성종 9)으로 처음에는 창고가 없었으며 1523년(중종 18)에 창고 80칸을 지었다. 공주(公州牧)·홍주목(洪州牧)·청주목(淸州牧)을 비롯한 39개 목(牧)·군(郡)·현(縣)의 조세미를 보관하였다. 현재 건물은 없으며 창고터를 알아 볼 수 있는 정도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아산 공세곶고지 조선시대에 건립된 곡물창고 터 충청남도 기념물 제21호 조선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1478년(성종 9) 삽교천의 포구 범근내포에 있던 세곡창고인 조창을 폐지하고 세곡을 보관하기 위해 새롭게 조창을 조성했던 곳이다. 범근내포는 하천의 수심이 얕아 세곡선을 드나들기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삽교천 건너편 공세리에 새로운 창고를 건립하였던 것이다. 처음에는 창고건물이 없어 세곡을 길에다 쌓아두었다가 1523년(중종 18)에 80칸 규모의 창고를 지었으며 당시의 축성된 성벽 약 680m가 남아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