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사 소장 문서일괄

영산사 소장 문서일괄

[ 英山祠 所藏 文書一括 ]

요약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화내리의 영산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 1988년 3월 16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영산사

영산사

지정종목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8년 3월 16일
소재지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마산로 343-14 (화내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문서류

1988년 3월 16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총 9종 18점으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선조밀부유지(宣祖密符諭旨)는 선조가 충청수사 이계정(李繼鄭)에게 내린 밀부와 밀지(유지)이다. 위급한 상황이 생길 경우 밀명을 내리면 하사(下賜)를 부(符:대나무 쪽)와 대조하여 즉시 시행할 것을 적은 것이다. 가로 78㎝, 세로 51㎝이다.

임진왜란 중 군사 관련 유지는 1595년(선조 28)에 충청수사로서 이계정이 군비, 군량, 군병 등의 운영에 관해 선조로부터 지시받은 내용이다. 가로 112㎝, 세로 44㎝이다.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은 1605년(선조 38)에 이순에게 하사한 것으로 임진왜란 공신 9,000여 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가로 22.5㎝, 세로 35.4㎝이다.

진무원종공신녹권(振武原從功臣錄券)은 1625년(인조 3)에 이광립(李光立)에게 하사한 것으로 이괄의 난 평정에 공을 세운 인물에 대한 포상록이다. 관안(官案)은 춘추관 기사관을 지냈던 이유(李劉)와 관련된 문서로 숙종대의 내외직 관원명록이다.

영산원적(英山院籍)은 영산사와 직접 관련된 유일한 문서로 창설 당시 초대 원장 홍만조(洪萬朝), 권중경(權重經)을 비롯한 경향유림(京鄕儒林)의 명단이다. 가로 29.5㎝, 세로 39.5㎝이다. 산막리(山幕里) 동계문서는 1645년(인조 23)에 창설된 산막리 동계에 관련된 문서로 계안, 동상례(東床禮) 문서, 서계 문서 등이다.

영산사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이계정을 비롯하여 이숙형, 이황, 이대행, 이호, 이순, 이원해, 이후, 이성춘 등 원주이씨(原州李氏) 문중의 충신 9명을 배향한 사우(祠宇)이다. 1732년(영조 8)에 창건하여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1901년 복원한 뒤 1974년에 중수하엿다. 현재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며, 삼문과 담장으로 둘러져 있다.
 

참조항목

마산면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영산사

영산사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