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충사적비

쌍충사적비

[ 雙忠事蹟碑 ]

요약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 1974년 12월 1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쌍충사적비각

쌍충사적비각

지정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4년 12월 10일
관리단체 성주여중고등학교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심산로 91-1 (성주읍)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1974년 12월 1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왜적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성주목사 제말(諸沫)과 그의 조카 제홍록(諸弘祿)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792년(정조 16)에 국가에서 세운 사적비이다. 비문은 한성부판윤을 지낸 서유린(徐有隣)이 글을 짓고, 영의정을 지낸 이병모(李秉模가 글을 썼으며, 조윤정이 전서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촉석루 뒤편에 이와 같은 비가 또 하나 있다.

원래 성주초등학교 교정에 있었는데, 학교 운동장을 확장하면서 1940년경에 지금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벽진이씨 경은파종중(碧珍李氏耕隱派宗中)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성주여자고등학교의 관리하에 보존되고 있다. 

칠원제씨(漆原諸氏)의 시조인 제말은 조선 전기의 의병장으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웅천(熊川)·김해(金海)·정암(鼎巖) 등지에서 왜군을 대파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그 공으로 성주목사에 임명된 후 왜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그의 조카 제홍록도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우고 충무공 이순신의 막하에 들어가 활약하다가 정유재란 때 전사하였다.  

참조항목

성주읍, 제말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