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공단

송공단

[ 宋公壇 ]

요약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에서 순절한 여러 선열을 모신 제단.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송공단

송공단

지정종목 부산광역시 기념물
지정일 1972년 6월 26일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시장길 27 (복천동, 송공단)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제사터
크기 면적 2,762㎡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동래기영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1742년(영조 18) 동래부사 김석일(金錫一)이 임진왜란 때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이 순절한 정원루가 있던 자리에 설치한 단이다. 송상현을 비롯하여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여러 선열을 모시고 있다.

송공단의 기원은 농주산전망제단인데, 이 제단은 1608년(선조 41) 동래부사로 부임한 이안눌(李安訥)이 송상현의 기제사를 올리기 위하여 동래읍성 남문 밖에 있던 조그마한 야산인 농주산에 설치하였던 것이다. 1742년에 송공단이 세워지자 이곳으로 옮겨졌다.

송공단은 처음에는 동·서·남·북의 4단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동래싸움에서 순절한 분들과 함께 부산진싸움, 다대포싸움에서 순절한 분들을 모셨다. 그뒤 동래성에서 순절한 분들은 송공단에, 부산진에서 순절한 분들은 좌천동의 정공단(鄭公壇)에, 다대포에서 순절한 분들은 다대동의 윤공단(尹公壇)에 각각 따로 모시게 되었다. 일제강점기부터는 해마다 음력 4월 15일 동래기영회에서 향사(享祀)를 지낸다.

역참조항목

복천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