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포대

논현포대

[ 論峴砲臺 ]

요약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있는 조선 후기에 축조된 포대. 1982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논현포대

논현포대

지정종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2년 3월 2일
소장 인천광역시 남동구청
관리단체 인천광역시 남동구청
소재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호구포로 203-31 (논현동, 논현포대근린공원)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근대정치국방 / 국방

1982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879년(고종 16)에 축조된 것으로,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 있는 논현포대는 축조 당시에는 당시의 지명을 따서 호구포대라고 명명되었으나 지금은 논현포대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병인양요신미양요 등을 겪고 나서 경기 연안의 방어시설을 강화할 필요성을 절감한 조선정부의 명을 받은 어영대장 신정희(申正熙)와 강화유수 이경하(李景夏)가 경기 연안의 군사시설을 확충하면서 구축한 것이다. 축조된 후 인근에 설치되어 있던 묘도포대, 제물포대 등과 함께 화도진(花島鎭)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1894년 화도진이 철폐되면서 이 포대도 폐쇄된 것으로 추측된다.

원래 인천 연안은 강화 수로를 통하여 한양으로 들어가는 길목이므로 외국의 군함 등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논현포대 외에도 많은 포대가 설치되었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지고 논현포대만 남아 있을 뿐이다.

이 포대가 원래 몇 개의 포좌(砲座)로 이루어져 있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현재는 2개의 포좌 만이 남아 옛 모습을 전하고 있다. 논현포대의 축조 형식은 각 포좌의 아랫 부분에 잡석을 깔고 중단과 상단에는 어느 정도 다듬은 장대석을 쌓았으며 그런 다음 그 위에 봉토를 하여 마무리하였다. 또한, 지형 여건상으로 미루어 보아 각 포좌에는 이동식 중포 2문이 설치되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원형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참조항목

, 요새, 포대, 논현동

역참조항목

논현·고잔동

카테고리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논현포대 인천 논현동에 축조된 조선후기 포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에 있는 조선후기에 축조된 포대로 1879년(고종16) 조선정부의 명을 받은 당시 어영대장과 강화유수에 의해 인천으로 들어오는 서양인들의 배를 막기 위해 축조되었다. 축조 당시 명칭은 "호구포대"였다. 원래 몇 개의 포좌가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현재는 2개의 포좌가 남아 있으며 포대 형식은 각 포좌의 아랫부분에 잡석을 깔고 중단과 상단에는 다듬어진 장대석을 쌓은 후 그 위에 봉토로 마무리한 형태로 조성되어 있다. 인천 연안은 강화 수로를 통하여 한양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의 군함이 한양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많은 포대가 설치되었는데 지금은 설치되었던 포대 중 논현포대만 남아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