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숙공 이상길 묘역

충숙공 이상길 묘역

[ 忠肅公 李尙吉 墓域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이상길(李尙吉)의 신도비. 1988년 4월 23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충숙공 이상길 묘역

충숙공 이상길 묘역

지정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8년 4월 23일
관리단체 벽진이씨충숙공파종회
소재지 서울 노원구 하계동 산16-1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1988년 4월 23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산 16-1번지에 있다. 비문은 성균관 제주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송준길(宋浚吉)이 글을 썼다. 같은 곳에 충숙이공 영정(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69)이 있다.

이상길은 조선 인조 때 공조판서를 지냈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에 들어갔다가 1637년 청의 군사가 강화에 쳐들어오자 자결했다. 사후 충숙(忠肅)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충렬사에 배향되었다. 문집에 《동천집(東川集)》이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덕과면 사곡리 벽진이씨 문중에 보물 제792호로 지정된 이상길 초상이 보존되어 있다.

역참조항목

이상길 초상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충숙공 이상길 묘역 조선 중기 문신 이상길(李尙吉)의 묘역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0호   서울시 노원구 하계동에 있는 묘역으로 조선 인조때 문인 이상길과 그의 부인 합장묘가 쌍분으로 조성되어 있다. 이상길은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80세의 나이에 영위사 자격으로 강화도에 들어갔으나 자결함으로써 종묘를 지킨 인물로 사후 충숙공의 시호가 내려졌다. 1661년 건립된 신도비는 사각의 받침돌 위에 비석을 세우고 지붕돌이 올려져 있는 형태로 묘역 아래 비각 안에 위치하고 있다. 묘역 내에는 근래에 새로 보수된 재실과 사당이 있으며 이곳에 이상길의 초상화 《충숙이공 영정》(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9호)이 보관되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