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의 특징

인종의 특징

  인종의 특징에는 유전한다고 생각되는 형질이 예거(例擧)되고 있으나 대개는 그 유전양식이 밝혀져 있지 않다. 예컨대, 신장은 인종에 따라 크게 다르고 유전하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으나, 영양과 생활환경에 따라서도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혈액형은 그 유전양식이 자세히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인종분류에 있어 커다란 무기이기는 하지만, 전통적인 인종개념은 형태를 근거로 하고 있으므로 보조수단으로 사용된다.

인종의 특징에는 형태학적인 것뿐만 아니라 생리 ·생화학적인 것, 나아가서는 심리학적인 것까지를 들 수 있다. 피부 빛깔은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백인 ·흑인, 그리고 황색인종이라는 말이 그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피부의 빛깔은 주로 멜라닌 과립의 양과 배열에 따라 결정된다. 멜라닌 과립이 많으면 흑색이나 흑갈색, 어중간하면 황갈색, 적으면 표피 내의 모세혈관 혈색이 비쳐서 붉은빛을 띤 백색이 된다. 열대에는 피부가 검은 사람이 많이 분포하고 고위도로 가면 밝은 빛의 빈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

모발의 빛깔이나 눈의 홍채 빛깔도 멜라닌 과립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인이나 중국인 ·아메리카 인디언의 어린이 엉덩이에는 푸른 반점이 있어, 이를 몽골반점[蒙古班點]이라고 하는데, 백인에게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털의 모양도 직모(直毛) ·파상모(波狀毛) ·나선모(螺線毛) 등, 털의 자란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단계가 있다. 털의 횡단면이 원형이면 직모이지만, 타원의 정도가 더할수록 고수머리가 된다.

또한 백인의 털은 한국인의 털에 비하여 훨씬 가늘고 탐스럽다. 턱수염이나 체모(體毛)의 양도 인종에 따라 크게 다르다. 젊어서 벗겨지는 대머리의 출현도에도 인종차가 있는데 백인에게는 많이 나타나지만 아메리카 인디언에게는 적게 나타난다. 머리의 모양(머리의 최대 길이와 넓이, 머리의 길이와 넓이의 示數, 머리의 높이, 또는 앞과 위와 옆에서 본 머리의 윤곽)도 인종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얼굴의 넓이나 길이, 광대뼈의 돌출, 아래턱의 발달 정도도 중요한 특징이다. 비근부(鼻根部)의 언저리는 인종에 따라 특징을 나타내기 쉽다. 두개골에 있어서도 지극히 미세한 부분에서까지 인종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 신장, 사지나 체간(體幹)의 비율, 체간의 튼튼한 정도, 자세, 피하지방, 코의 모양, 눈꺼풀의 모양, 눈의 찢어진 방향, 입술의 두께, 귀모양이나 귓불의 모양, 유방의 모양이나 크기 등에서도 뚜렷한 인종차를 볼 수 있다.

이상의 것은 눈에 띄기 쉽고 이민족의식(異民族意識)을 일으키기 쉬운 형태적 특징이지만, 한편 눈에 띄기 어려운 특징으로서 손발의 지문, 손금 양식의 빈도, 이빨의 모양이나 크기, 뼈나 근육의 여러 가지 등에서도 많은 특징을 볼 수 있다. 백인이나 흑인은 체취가 강하나 황색인종은 약하다. 체취는 아포크린샘의 발달 정도와 관계가 깊다. 암내가 있을 경우 귓밥이 습성(濕性)이다.

체력 ·기초대사량 ·내한성(耐寒性) ·내열성(耐熱性) ·내광성(耐光性)도 인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흑인의 뛰어난 도약력은 가늘고 긴 종아리, 튀어나온 발뒤꿈치 등 해부학적인 견지에서 볼 때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현상이다. 표정은 문화적 ·심리적 요인에 지배되지만, 역시 유전적 요인도 작용한다. 예컨대 소근(笑筋:보조개를 만드는 표정근)의 발달은 백인에 비해 한국인이 약하다. 미맹(味盲) ·색맹(色盲)의 빈도도 다르다.

일란성 쌍생아의 빈도는 모든 인종이 거의 같으나, 이란성 쌍생아는 인종에 따라 크게 달라, 한국인은 낮은 비율로 나타나고 흑인은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신체발육의 관계에도 인종차가 있다. 혈액형에는 여러 가지 방식을 들 수 있으나 그 출현빈도는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이 분야의 연구는 최근에 와서 특히 진전을 보이고 있다.

질병에 있어서도 특정한 인종에게만 자주 생긴다고 보고되는 것이 있다. 지능이나 기질 등에 있어서도 인종의 차이를 예상할 수 있을지 모르나, 이에 관해서는 측정법이 불완전하고, 또한 문화적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논법을 잘못 적용하다가는 정치적 파국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현재로서는 이에 관한 인종차를 증명할 수 없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