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의 연혁

하남시의 연혁

미사동에서 발굴된 몸돌·격지 등의 구석기시대 유물, 미사동·선동·춘궁동 등지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의 주거지와 빗살무늬토기 등 선사시대의 유물 및 유적이 확인된다.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영역에 속하였으며,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건국 터전으로서 BC 5년 온조왕이 한강 남쪽에 새 도읍지로 정한 하남위례성을 지금의 하남시 춘궁동 일대로 비정하기도 한다. 이후 475년(장수왕 63) 고구려가  남진정책을 펼쳐 한강 유역을 점령하고 한산군(漢山郡)을 설치하였으며, 551년(성왕 29) 백제가 신라와 연합하여 일시적으로 회복하였으나 553년(진흥왕 14)에 신라가 한강 유역을 장악하고 신주(新州)를 설치하여 하남 지역은 여기에 속하였다. 신주는 북한산주(北漢山州)·남천주(南川州)·한산주(漢山州)를 거쳐 757년(경덕왕 16)에 한주(漢州)로 개편되었으며, 하남 지역이 한주의 치소(治所)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가 개국한 뒤, 940년(태조 23) 전국 주·군·현의 행정 지명을 정비하여 한주를 광주(廣州)로 개편하였으며, 983년(성종 2) 전국의 지방 행정구역을 12목(牧)으로 재편하여 광주목(廣州牧)을 설치하였다. 991년(성종 10) 지방 행정구역에 별호를 정하여 광주를 회안(淮安)이라 칭하기도 하였으며, 995년(성종 14)에는 10도제(十道制)를 실시하여 광주를 관내도(關內道)에 편제하였다. 1018년(현종 9) 전국이 5도양계로 재편되면서 광주목은 양광도(楊廣道)에 편제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에는 지금의 경기 지역이 경기좌도와 경기우도로 재편되어 경기좌도에 편제되었다.

조선이 개국한 뒤, 1413년(태종 13) 전국 행정구역이 8도로 정비되면서 광주목은 경기도에 편제되었다. 광주목의 읍치(邑治)는 남한산성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하남 지역의 고골에 두었는데, 지금의 춘궁동에 해당한다. 1577년(선조 10) 광주목이 광주부로 승격된 뒤 부윤(府尹)과 유수(留守)의 승강을 거듭하다가 1795년(정조 19) 광주유수부(廣州留守府)로 정착되었다. 광주유수부에는 23개 면이 편제되었는데, 이 가운데 동부면과 서부면이 대체로 지금의 하남 지역에 해당한다. 당시 동부면에는 사창리·산곡리·덕풍리·황산리·둔지리·팔당리의 6개 리, 서부면에는 항리·춘장리·초덕리·감천리·동음암리의 5개 리가 편제되었다. 1895년(고종 32) 8도제가 폐지되고 전국 행정구역이 23부(府)로 재편되면서 광주군은 한성부(漢城府)에 속하였고, 하남 지역은 광주군 동부면이 되었다. 1896년(고종 33) 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시행되어 광주군은 경기도에 편제되었으며, 1907년(순종 1) 동부면의 팔당리가 양주군에 편입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2년 광주군의 동부면과 서부면이 종전의 11개 리에서 28개 동·리로 확대 개편되었다. 1917년에는 동부면이 12개 리(교산리·덕풍리·풍산리·선리·망월리·미사리·신장리·당정리·창우리·배알미리·하산곡리·천현리)로, 서부면은 11개 리(학암리·감일리·감이리·감북리·광암리·초일리·초이리·춘궁리·항리·상사창리·하사창리)로 재편되었는데, 대체로 지금의 법정동 명칭과 일치한다.

8·15광복 후에도 대체로 기존의 행정구역 체제가 유지되었으며, 1980년 지방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부면이 동부읍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에는 동부읍과 서부면 전역, 중부면의 상산곡리가 하남시로 승격되어 10개 행정동(풍산동·덕풍1~3동·신장1~2동·천현동·춘궁동·초이동·감북동)과 24개 법정동(천현동·상산곡동·하산곡동·배알미동·창우동·신장동·당정동·덕풍동·풍산동·망월동·미사동·선동·감북동·감일동·감이동·학암동·교산동·춘궁동·상사창동·하사창동·항동·초일동·초이동·광암동)으로 편제되었다. 시 승격 당시의 인구는 9만 7200여 명으로 1960년대 초반에 비하여 6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시의 명칭인 '하남'은 백제의 도읍인 '하남위례성'에서 유래하였다. 1994년 덕풍동에 있던 시청사를 신장동으로 이전하였다.

2014년 풍산동·망월동·덕풍동·선동 일대가 보금자리주택지구인 미사강변도시로 개발되면서 풍산동에서 미사1동과 미사2동이 분동되어 12행정동으로 재편되었고, 2015년 하남시의 학암동과 성남시 수정구 및 서울 송파구 일대를 포함하는 위례신도시 개발에 따라 감북동에서 위례동이 분동되어 13행정동으로 확대되었다. 2020년에는 하남감일공공주택지구 개발에 따라 감북동에서 감일동이 분동되었고, 2023년 풍산동이 미사3동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지금의 14행정동 체제가 갖추어졌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14행정동(천현동·신장1~2동·덕풍1~3동·미사1~3동·감북동·감일동·위례동·춘궁동·초이동) 24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동인 천현동이 법정동인 천현동·상산곡동·하산곡동·배알미동과 창우동 일부를, 신장1동이 법정동인 신장동 일부를, 신장2동이 법정동인 당정동과 신장동·창우동 일부를, 덕풍1~3동이 각각 법정동인 덕풍동 일부를, 미사1동이 법정동인 미사동과 망월동 일부를, 미사2동이 법정동인 선동과 망월동 일부를, 감북동이 법정동인 감북동·감일동·광암동 일부를, 감일동이 법정동인 감일동·감이동 일부를, 위례동이 법정동인 학동과 감이동 일부를, 춘궁동이 법정동인 교산동·춘궁동·상사창동·하사창동·항동을, 초이동이 법정동인 초일동·초이동과 광암동 일부를 관할하고, 풍산동은 행정동인 미사3동이 관할한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