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리

피리

요약 속이 빈 대롱에 구멍을 뚫고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의 총칭.
국악 피리

국악 피리

소리듣기
향악기화한 퉁소를 조금 작게 만든 것으로 세로로 불게 되었다. 악기의 소리는 크지 않으나 그 음색이 맑고 깨끗하여 독주악기로서 애용된다.
소리듣기 가로로 부는 피리류의 악기이다.
소리듣기 속이 빈 대롱에 구멍을 뚫고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의 총칭.

좁게는 국악기 중의 향필률(鄕觱篥:향피리)·당필률(唐피리)·세필률(細피리) 등을 가리키기도 하나, 넓게는 곧은 일자 모양의 대에 구멍을 뚫고 입으로 불어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은 국악기나 서양악기, 또는 세로나 가로로 부는 악기를 구별하지 않고 통틀어 피리라고 부른다. 세 개의 지공(指孔)으로 반공(伴孔)을 막고 여는 연주법을 써서 십이율(律)을 내는 약(龠)이라는 국악기로부터 열 개가 넘는 지공을 아홉 손가락으로 여닫아 반음까지도 연주할 수 있는 서양악기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모양·음색·조(調) 등은 실로 다양하다.

피리는 또한 그 연원이 매우 오래된 악기로 최남선(崔南善)의 《조선상식문답》에 의하면, 삼한시대부터 방울[鈴]·[鼓]·거문고·피리[笛] 등의 네 가지 악기가 주로 종교상의 필요로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삼한시대의 고분에서는 질흙을 둥글게 뭉쳐 만든 피리가 많이 발굴되었는데 이것을 일본에서는 아메노이와부에[天磐笛]라 하여 신대(神代)의 악기라고 하였다. 또한 일본에서는 한국 고대의 피리를 가져가 이를 고마부에[高麗笛]라고 하였는데 이것으로도 옛날 한국에는 여러 가지의 피리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삼국유사》에도 통일신라 때 거문고와 피리의 두 가지 신기한 악기를 국가의 제천고(祭天庫)에 비장(秘藏)하여 왔다는 기록이 있어, 이 악기는 필시 그 이전부터 신앙적으로 전승되어 온 신물(神物)이었을 것이다. 피리는 시대를 거듭함에 따라 그 나라 민족의 정서와 풍속·전통에 맞도록 개량·발전·보급되어 왔으며, 향토적이고 단순한 한국의 버들피리를 비롯하여 어떠한 조나 음률의 곡이라도 연주할 수 있는 복잡하게 장식된 서양의 플루트리코더 등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실로 다양한 악기이다.

카테고리

  • > > >